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경기 지역에서도 발생하면서 구제역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직까지는 경기 지역 구제역 바이러스의 전파.전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경기 양주.연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경북 구제역이 방역망을 뚫고 전파된 것이거나,아니면 전혀 새로운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어떤 경우든 이번 구제역이 ‘전국적 확산 조짐’이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초기대응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었던데다 경북 지역에 설치한 차단 방역망이 사실상 뚫린 것으로 보여 향후 방역체계에 여하한 허점이라도 보일 경우 이번 구제역이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경북 방역망 뚫린듯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 돼지농가에서 처음으로 구제역이 확인된 이후 보름을 넘기면서 구제역 의심신고 건수가 확연히 줄어들자 방역 당국은 경북 지역에 설치한 방역망이 제구실을 한 것으로 안도해왔다.
하지만 경기 양주.연천 지역은 차치하고라도 지난 14일밤 경북 예천군 지보면의 한우농가에서 접수된 의심신고가 또다시 구제역으로 판정나면서 경북 지역내 방역망도 제구실을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초 정부 당국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잠복주기가 대략 14일가량이라는 점을 감안해 이달 중순께부터 의심신고가 확연히 줄어들고 경북 지역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구제역이 소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판단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예천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예천 지역 구제역 바이러스가 다른 지역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14일가량 또다시 피말리는 방역작업에 나서야 할 처지가 됐다.
이에 따라 15일 이후 접수되는 구제역 의심신고 건수와 구제역 확인 건수의 추이가 경북 구제역 사태의 성패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정부,뒤늦은 총력체제 전환
농림수산식품부는 경북 지역을 벗어나 경기 양주와 연천의 돼지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자 위기경보 단계를 기존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또 지금까지 2차관이 맡아왔던 구제역대책본부장을 장관이 직접 맡는 등 총력 방역체제로 전환했다.
하지만 이러한 총력체제 전환이 때늦은 감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정부의 초기 대응에 문제점이 적지 않았던 상황에서 이번 총력체제 전환이 최악의 경우에는 ‘사후약방문’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정부는 지난달 28일 경북 안동 지역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이튿날인 29일 구제역으로 판정됐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지난달 23일부터 구제역 의심신고가 잇따라 접수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 안동 지역 농민들에 따르면 당초 안동시 와룡면 인근의 농가들이 23일부터 지속적으로 돼지 구제역 의심신고를 했으나 안동시 등 당국이 정밀검사도 없이 간이검사만 거친 채 섣불리 구제역 음성으로 판정내리는 등 안이한 태도를 보였다.
심지어 안동시는 23일과 24일에 제기된 구제역 의심신고에 대해선 아예 기록조차 하지 않고 있다가 28일에서야 구제역 의심신고에 대한 정밀검사에 들어가는 등 늑장대응을 했다.최초 신고 이후 무려 닷새간 허송세월한 셈이다.
구제역 문제를 총괄하는 농식품부 역시 23일 이후 28일 이전까지의 상황에 대해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29일 구제역 최초 확인 이후 방역체제에 돌입하면서 초동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여론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정부 당국이 전염성이 강한 구제역이 초기 발생했을 때부터 서둘러 총력체제로 전환,초기에 승부를 걸었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 당국이 초기 대응에 실패한 상황에서 자칫 경기 양주.연천 지역의 구제역 차단에 성공하지 못하면 이번 구제역은 ‘사통팔달’ 지역인 수도권을 통해 결국에는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연합뉴스
아직까지는 경기 지역 구제역 바이러스의 전파.전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경기 양주.연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경북 구제역이 방역망을 뚫고 전파된 것이거나,아니면 전혀 새로운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어떤 경우든 이번 구제역이 ‘전국적 확산 조짐’이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초기대응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었던데다 경북 지역에 설치한 차단 방역망이 사실상 뚫린 것으로 보여 향후 방역체계에 여하한 허점이라도 보일 경우 이번 구제역이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경북 방역망 뚫린듯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 돼지농가에서 처음으로 구제역이 확인된 이후 보름을 넘기면서 구제역 의심신고 건수가 확연히 줄어들자 방역 당국은 경북 지역에 설치한 방역망이 제구실을 한 것으로 안도해왔다.
하지만 경기 양주.연천 지역은 차치하고라도 지난 14일밤 경북 예천군 지보면의 한우농가에서 접수된 의심신고가 또다시 구제역으로 판정나면서 경북 지역내 방역망도 제구실을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초 정부 당국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잠복주기가 대략 14일가량이라는 점을 감안해 이달 중순께부터 의심신고가 확연히 줄어들고 경북 지역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구제역이 소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판단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예천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예천 지역 구제역 바이러스가 다른 지역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14일가량 또다시 피말리는 방역작업에 나서야 할 처지가 됐다.
이에 따라 15일 이후 접수되는 구제역 의심신고 건수와 구제역 확인 건수의 추이가 경북 구제역 사태의 성패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정부,뒤늦은 총력체제 전환
농림수산식품부는 경북 지역을 벗어나 경기 양주와 연천의 돼지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자 위기경보 단계를 기존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또 지금까지 2차관이 맡아왔던 구제역대책본부장을 장관이 직접 맡는 등 총력 방역체제로 전환했다.
하지만 이러한 총력체제 전환이 때늦은 감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정부의 초기 대응에 문제점이 적지 않았던 상황에서 이번 총력체제 전환이 최악의 경우에는 ‘사후약방문’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정부는 지난달 28일 경북 안동 지역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이튿날인 29일 구제역으로 판정됐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지난달 23일부터 구제역 의심신고가 잇따라 접수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 안동 지역 농민들에 따르면 당초 안동시 와룡면 인근의 농가들이 23일부터 지속적으로 돼지 구제역 의심신고를 했으나 안동시 등 당국이 정밀검사도 없이 간이검사만 거친 채 섣불리 구제역 음성으로 판정내리는 등 안이한 태도를 보였다.
심지어 안동시는 23일과 24일에 제기된 구제역 의심신고에 대해선 아예 기록조차 하지 않고 있다가 28일에서야 구제역 의심신고에 대한 정밀검사에 들어가는 등 늑장대응을 했다.최초 신고 이후 무려 닷새간 허송세월한 셈이다.
구제역 문제를 총괄하는 농식품부 역시 23일 이후 28일 이전까지의 상황에 대해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29일 구제역 최초 확인 이후 방역체제에 돌입하면서 초동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여론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정부 당국이 전염성이 강한 구제역이 초기 발생했을 때부터 서둘러 총력체제로 전환,초기에 승부를 걸었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 당국이 초기 대응에 실패한 상황에서 자칫 경기 양주.연천 지역의 구제역 차단에 성공하지 못하면 이번 구제역은 ‘사통팔달’ 지역인 수도권을 통해 결국에는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