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화천 구제역…‘청정 강원’ 뚫렸다

평창·화천 구제역…‘청정 강원’ 뚫렸다

입력 2010-12-22 00:00
수정 2010-12-22 09: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원도 평창과 화천 한우농가의 구제역 의심 신고가 22일 양성으로 판정돼 방역에 비상이 걸리면서 ‘구제역 청정지대’가 위기를 맞았다.

 정부 방침보다 강화한 구제역 방역대책을 추진했던 도는 춘천과 원주에서도 의심 신고가 접수되는 등 동시다발적으로 확산하자 망연자실하고 있다.

 강원도는 지난 21일 평창군 대화면 신2리와 화천군 사내면 명월리 한우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 유사증세가 결국 양성으로 판정나자 이날 반경 500m 이내의 소 등 우제류 67마리를 신속히 살처분 했다.
이미지 확대
평창에서도 구제역 평창과 대관령 한우로 브랜드가 높은 강원 평창군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22일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횡계 나들목에서 방역이 실시되고 있다. 평창=연합뉴스
평창에서도 구제역
평창과 대관령 한우로 브랜드가 높은 강원 평창군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22일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횡계 나들목에서 방역이 실시되고 있다.
평창=연합뉴스


 또 의심 신고된 춘천 농가는 예방적 차원에서 3개 농가 90만리도 긴급 살처분 했다.

 도는 특히 구제역 발생농가를 비롯해 의심 신고 농가를 중심으로 500m 내에서 구제역을 차단한다는 목표로 총력 방역체제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전날 의심 신고 당시부터 시행한 해당 농장 출입구 폐쇄,소독조 설치,발생 농가로부터 반경 500m 이내 가축 이동 제한 조치 등을 강화했으며 용평면 장평리의 도축장을 폐쇄했다.

 해당 농가를 중심으로 위험지역(500m~3㎞)과 경계지역(3~10㎞),관리지역(10~20㎞) 진출입로 양쪽에 방역대를 설치해 소독을 강화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이동통제초소를 도내 전역으로 확대해 66곳으로 늘리는 등 지역 간 차단방역에 나섰다.

 이동통제초소의 원활한 운영과 살처분 등 방역에 따른 인력부족을 대비해 경찰과 군부대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최초 의심 신고 접수 후 확인에 들어간 수의사와 농장주 및 가족 등의 외부 출입을 전면 금지하고 경계지역 내의 우제류에 대한 임상관찰을 강화하고 있다.

 도는 감염경로를 조사한 결과 평창은 지난 13일 공수의사가 다녀갔을 뿐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아 일단 공수의사가 방문한 대화면과 평창읍의 39개 농가에 대해 이동통제 조치하는 한편 임상관찰을 벌이고 있다.

 화천도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어 방역 당국이 역학조사에 애를 먹고 있으나 감염경로를 추적하는 데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밖에 도는 추가 발생을 막으려고 이동통제소 방역 인원을 1일 평균 751명에서 2천여명으로 대폭 늘리고 도와 시.군 등 24개 비상대책 상황실 근무 인력도 70여명에서 280여명으로 확대했으며 예찰인원과 역학조사원,방역사 등도 늘릴 예정이다.

 도는 오는 23일 오전 구제역 비상방역대책회의과 민.관.군 협의회를 잇따라 열고 방역대책반별 조치 계획과 관계기관별 협조사항 등을 논의해 강력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정부가 구제역 대책의 ‘마지막 수단’인 예방백신을 접종키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정부의 지침을 받는 대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박창수 농정산림국장은 “구제역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청정지역이어서 정부 방침보다 강화한 방역 대책을 추진했는데 구제역이 발생해 안타깝다”며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역대책을 가동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도내에서는 1만6천여 농가에서 23만여마리의 한우,500여 농가에서 43만여마리의 돼지를 사육해 한우는 전국의 8.2%,돼지는 4.3%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사슴과 젖소 등 총 우제류 사육은 1만7천33농가에서 72만여마리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