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천안과 아산지역에서 잇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그 원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천안.아산지역에서는 2003년 3차례(천안 북면 1차례·천안 직산면 2차례),2004년 3차례(천안 풍세 1차례·직산면 1차례·아산시 탕정면 1차례),2006년 1차례(아산 탕정),2007년 2차례(천안 동면·풍세면 각 1차례)에 이어 이번에 10번째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2003년부터 충남에서 발생한 11차례의 고병원성 AI 가운데 2008년 논산 부적면을 제외한 10차례가 천안.아산지역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지역은 전국적으로도 ‘AI 최다 발생 지역’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이 지역에서 AI 발생이 잦은 것은 AI 매개체로 지목되고 있는 철새의 도래지가 인근 풍서천과 병천천,아산만 등에 대규모로 널려 있기 때문으로 방역당국은 보고 있다.
이번에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천안시 풍세면 풍서리 종오리농장은 천안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풍서천과 1㎞ 정도 떨어져 있다.
풍세면을 끼고 도는 풍서천은 최대 하천폭이 247m,유역면적이 66.5㎢에 이르며,천 주변을 따라 농경지가 넓게 펼쳐져 가창오리와 개리 등 해마다 수만마리의 다양한 철새들이 찾고 있다.
게다가 철새들이 먹이를 찾으러 농가로 찾아드는가 하면 가금류 사육농장까지 접근해 먹이를 먹고 변까지 보고 있어 AI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2006년 풍세면 용정리 산란계 농장에서 AI가 발생하자 인근 풍서천에서 서식하는 철새 분변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AI 바이러스를 확인하기도 했다.
특히 지난 8일 익산시 석탄동 만경강에서 서식하는 청둥오리와 국내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충남 서산시 천수만 인근에서 서식하는 수리부엉이에서 잇따라 고병원성 AI가 검출되기도 했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AI 감염 철새 및 야생조류들이 풍세천과 병천천 등으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과 조류 전문가들은 이번 AI 발생이 철새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감염경로를 조사하고 있다.
박영진 충남도 축산과장은 “최근에는 철새가 겨울이 가고 봄이 와도 돌아가지 않는 텃새화 경향이 있다”며 “가금류 농장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을 위해 철새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획기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천안·아산지역이 대규모 가금류 사육단지로,차량과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는 것도 AI 발병이 잦은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이번에 AI가 발병한 풍세면 풍서리 종오리농장에는 최근 수차례에 걸쳐 종란 수거차량이 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가금류 사육농장주들의 위생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가금류 농장주들은 농장관리에는 비교적 철저한 편이지만 자신의 몸과 차량,농기계 등에 대해서는 소홀한 감이 없지 않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신용욱 충남도 가축방역담당은 “AI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가금류 사육농장주들이 농장과 농기계,자신의 몸 등을 잘 관리하는 것”이라며 “농장주들은 집이나 농장 근처에 ‘발판소독조’ 등을 설치하고 외출하고 돌아오면 몸을 소독하고 손을 씻는 습관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천안.아산지역에서는 2003년 3차례(천안 북면 1차례·천안 직산면 2차례),2004년 3차례(천안 풍세 1차례·직산면 1차례·아산시 탕정면 1차례),2006년 1차례(아산 탕정),2007년 2차례(천안 동면·풍세면 각 1차례)에 이어 이번에 10번째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2003년부터 충남에서 발생한 11차례의 고병원성 AI 가운데 2008년 논산 부적면을 제외한 10차례가 천안.아산지역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지역은 전국적으로도 ‘AI 최다 발생 지역’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이 지역에서 AI 발생이 잦은 것은 AI 매개체로 지목되고 있는 철새의 도래지가 인근 풍서천과 병천천,아산만 등에 대규모로 널려 있기 때문으로 방역당국은 보고 있다.
이번에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천안시 풍세면 풍서리 종오리농장은 천안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풍서천과 1㎞ 정도 떨어져 있다.
풍세면을 끼고 도는 풍서천은 최대 하천폭이 247m,유역면적이 66.5㎢에 이르며,천 주변을 따라 농경지가 넓게 펼쳐져 가창오리와 개리 등 해마다 수만마리의 다양한 철새들이 찾고 있다.
게다가 철새들이 먹이를 찾으러 농가로 찾아드는가 하면 가금류 사육농장까지 접근해 먹이를 먹고 변까지 보고 있어 AI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2006년 풍세면 용정리 산란계 농장에서 AI가 발생하자 인근 풍서천에서 서식하는 철새 분변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AI 바이러스를 확인하기도 했다.
특히 지난 8일 익산시 석탄동 만경강에서 서식하는 청둥오리와 국내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충남 서산시 천수만 인근에서 서식하는 수리부엉이에서 잇따라 고병원성 AI가 검출되기도 했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AI 감염 철새 및 야생조류들이 풍세천과 병천천 등으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과 조류 전문가들은 이번 AI 발생이 철새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감염경로를 조사하고 있다.
박영진 충남도 축산과장은 “최근에는 철새가 겨울이 가고 봄이 와도 돌아가지 않는 텃새화 경향이 있다”며 “가금류 농장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을 위해 철새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획기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천안·아산지역이 대규모 가금류 사육단지로,차량과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는 것도 AI 발병이 잦은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이번에 AI가 발병한 풍세면 풍서리 종오리농장에는 최근 수차례에 걸쳐 종란 수거차량이 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가금류 사육농장주들의 위생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가금류 농장주들은 농장관리에는 비교적 철저한 편이지만 자신의 몸과 차량,농기계 등에 대해서는 소홀한 감이 없지 않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신용욱 충남도 가축방역담당은 “AI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가금류 사육농장주들이 농장과 농기계,자신의 몸 등을 잘 관리하는 것”이라며 “농장주들은 집이나 농장 근처에 ‘발판소독조’ 등을 설치하고 외출하고 돌아오면 몸을 소독하고 손을 씻는 습관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