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찾는다” 해외영주권자 자원입대 급증

“정체성 찾는다” 해외영주권자 자원입대 급증

입력 2012-01-25 00:00
업데이트 2012-0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월 누적 1100명 넘을 듯

굳이 군 복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해외 영주권자들의 자원 입대가 급증하고 있다. 올 3월 입대 예정자들까지 포함하면 누적 인원 1100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일부 고위층 자녀나 연예인들의 병역 기피 분위기가 강한 현실에서 귀감이 되고 있다.

24일 병무청에 따르면 자진 입영한 해외 영주권자들은 2004년 ‘영주권자 입영희망원 출원제도’ 시행 첫해인 2004년 38명, 2006년 82명, 2009년 160명, 2011년 221명 등 해마다 늘어 모두 1065명에 이른다. 올 첫 입대(3월 12일 입영)자는 50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중3 때인 2001년 캐나다로 이민을 간 남경민(왼쪽·28)씨는 2006년 영주권을 취득해 사실상 병역을 면제받았다. 그러나 4년 만인 지난 5일 귀국, 병무청에 육군 자원입대를 신청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UBC) 경영학과를 졸업한 남씨는 최근 일본의 한 무역업체로부터 취업 제의를 받았다. 하지만 그는 “병역이라는 자랑스러운 권리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고 싶었다.”고 입대 이유를 밝혔다. 한국인의 자긍심을 위해 ‘영어 이름’도 만들지 않았다는 남씨는 “전방 근무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국 영주권자인 구교욱(오른쪽·22)씨도 입대 행렬에 동참했다. 2005년 미국으로 건너간 구씨는 워싱턴대 생화학과 2학년을 마친 뒤 휴학하고 최근 모국을 찾았다. 구씨는 “영주권을 갖고 군대를 기피하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안타까웠다.”면서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의 도발 위협이 커진 상황에서 조국 수호에 작은 힘을 보탤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2012-01-2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