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작년 한 해 동안 규모 2.0 이상 지진이 93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계기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며, 디지털 방식의 지진 관측을 한 1999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평균(44.5회)보다 배 이상 많다.
특히 규모 3.0 이상 지진은 17회, 사람이 느끼는 ‘유감 지진’은 15회로 예년 평균치의 배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서해에서 52회, 동해에서 15회, 북한 지역에서 7회 등 순으로 지진이 빈발했다.
특히 인천 백령도 해역과 충남 보령, 전남 흑산도 해에서 지진이 잇달아 발생했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양상을 볼 때 연속 지진이 대규모 지진의 전조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한반도 지진 활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지질조사소(USGS)가 발표한 작년 세계 지진(규모 5.0 이상) 발생 횟수는 총 1천542회로, 연평균(1978∼2012년, 1천639회)과 비슷했다.
작년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4월 21일 흑산도 해역과 5월 18일 백령도 해역에서 각각 발생한 규모 4.9 지진으로 계기 관측 이후 6번째로 큰 규모였다.
흑산도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흑산도에 있는 건물과 창문이 흔들렸고 경남 진주에서도 약한 진동이 감지됐다.
백령도 지진 때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도 일부 주민들이 약한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은 2월 5일 경남 거창군에서 발생한 규모 3.5 지진이었다. 이 지진으로 대구와 거창 지역에서 건물이 흔들렸다.
연합뉴스
이는 계기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며, 디지털 방식의 지진 관측을 한 1999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평균(44.5회)보다 배 이상 많다.
특히 규모 3.0 이상 지진은 17회, 사람이 느끼는 ‘유감 지진’은 15회로 예년 평균치의 배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서해에서 52회, 동해에서 15회, 북한 지역에서 7회 등 순으로 지진이 빈발했다.
특히 인천 백령도 해역과 충남 보령, 전남 흑산도 해에서 지진이 잇달아 발생했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양상을 볼 때 연속 지진이 대규모 지진의 전조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한반도 지진 활동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지질조사소(USGS)가 발표한 작년 세계 지진(규모 5.0 이상) 발생 횟수는 총 1천542회로, 연평균(1978∼2012년, 1천639회)과 비슷했다.
작년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4월 21일 흑산도 해역과 5월 18일 백령도 해역에서 각각 발생한 규모 4.9 지진으로 계기 관측 이후 6번째로 큰 규모였다.
흑산도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흑산도에 있는 건물과 창문이 흔들렸고 경남 진주에서도 약한 진동이 감지됐다.
백령도 지진 때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도 일부 주민들이 약한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은 2월 5일 경남 거창군에서 발생한 규모 3.5 지진이었다. 이 지진으로 대구와 거창 지역에서 건물이 흔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