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악화에 수색·인양 중대 기로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은 조수 간만의 차가 적은 소조기가 끝나는 24일을 수색 마지노선으로 정했지만 여전히 100여명의 실종자를 찾지 못했다. 수색을 총괄하는 해양경찰은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인양에 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지 않고 수색을 계속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 조심스럽게 인양을 말하기 시작하면서 실종자 가족 대표단 또한 이르면 주말쯤 수색과 인양의 갈림길에 설 전망이다. 전남 진도 해역에서 세월호가 침몰한 지 9일째인 이날까지도 실종자 가족들이 모인 진도실내체육관에서 ‘인양’은 금기어다. 생존 가능성이 희박하다 해도 인양한다는 것은 생존자가 없다고 선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양 과정에서 시신이 훼손될 우려도 제기된다. 한 실종 학생 어머니는 “사고가 발생한 지 며칠이 지났는데도 선체 진입을 못 하고 있어 서두르라는 의미로 기한을 정한 것이지, 선박 인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군용 헬기로 운구되는 희생자 시신
24일 전남 진도군 공설운동장에서 한 희생자의 시신이 군용 헬기로 운구되고 있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수습된 시신을 팽목항에서 진도 공설운동장으로 옮긴 다음 경기 안산 경비행장까지 헬기로 이송한 뒤 시신 안치 희망 장소까지 119 구급차로 옮기고 있다.
진도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진도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인양이 지체되면 오히려 시신 훼손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까지는 수습된 시신들이 붓거나 훼손된 정도가 심하지 않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더 늦어지면 부패가 심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크레인 5대를 인근 해상에 대기시킨 채 인양 계획 수립을 준비하고 있지만 먼저 말을 꺼내긴 어려운 상황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토요일(26일) 오후부터 비바람이 불면서 물결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풍랑특보 가능성도 있어 합동구조팀은 주말 이전 수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양을 시작한다 해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천안함의 경우 함미와 함수를 인양하는 데만 한달이 걸렸다. 당시 유가족들은 침몰 1주일이 지난 시점에 구조를 중단하고 선체를 인양하기로 결정했다.
한순흥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세월호의 경우 선박이 크고 무거워 체인으로 감아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는 기존의 방식 대신 배를 크레인으로 조금 끌어올린 뒤 ‘ㄷ’ 자 모양의 큰 삽에 물건을 퍼 올리듯 플로팅독에 실어 옮기는 방법을 이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플로팅독에 그물을 설치하고 서서히 들어 올리면 시신 유실도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진도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4-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