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 벨 설치 난항
26일 해경 등에 따르면 이종인 대표는 이날 새벽 1시쯤 사고 해역에 다이빙 벨을 투입하기 위해 바지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닻)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가 꼬여 중단울 했다.
이종인 대표는 물살이 약해지기를 기다렸다가 새벽 5시부터 2차 앵커 설치 작업에 들어갔지만 이번에도 조류가 강해 바지선을 고정시키는 데 실패했다.
이종인 대표는 결국 물살이 느려지는 정오쯤 3차 다이빙 벨 투입을 위한 바지 앵커 설치작업을 시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인 대표는 “몇몇 부분에서 작업 여건이 맞지 않아 장비를 철수했다”면서 “조만간 다시 투입을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경 관계자는 “사고 해역의 물살이 워낙 거센데다 수위 또한 높아져 앵커를 고정시키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정조 시간대인 정오께 다시 앵커 설치를 추진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종인 대표측이 앵커를 바지선 고정에 성공하더라도 잠수부가 선체로 진입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생명선)을 추가 설치해야 하는 만큼 다이빙 벨을 통한 실종자 수색작업은 오후 늦게나 밤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