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가던 6825t급 청해진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해 해경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05/02/SSI_20140502142126_O2.jpg)
![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가던 6825t급 청해진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해 해경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05/02/SSI_20140502142126.jpg)
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가던 6825t급 청해진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해 해경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세월호 국정원’
세월호 사고 당일 사고 소식이 해양경찰보다 국정원에 먼저 보고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15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세월호 운항관리규정의 ‘해양사고 보고 계통도’에 따라 세월호는 사고가 나면 가장 먼저 국정원 제주지부와 인천지부, 해운조합에 보고하도록 명시돼 있다. 해양경찰, 인천지방해양항만청,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는 그 다음 순서이다. 계통도에는 국정원 제주·인천지부의 전화번호까지 적혀 있다. 세월호 운항관리규정은 지난해 2월25일 청해진해운이 작성했고, 해경은 이를 심사해 승인했다.
계통도에 따라 김한식 청해진해운 사장 등은 사고 직후인 지난달 16일 오전 9시 10분쯤 국정원에 문자메시지로 사고 사실을 보고했다. 국정원이 초기부터 사고를 알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청해진해운 관계자는 “해경에 따로 연락하지 않은 것은 제주VTS(해상교통관제센터)와 진도VTS에서 사고를 먼저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다만 해당부서가 사고로 정신이 없을 것 같아 혹시 (국정원 보고가) 누락됐을까봐 알려준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원이 이처럼 가장 먼저 세월호 사고를 보고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사고 초반에 ‘전원 구조’ 등의 황당한 오판을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정원 또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