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장년층 “노후준비체감도 100점 만점에 58점”

서울 노장년층 “노후준비체감도 100점 만점에 58점”

입력 2015-01-28 11:17
업데이트 2015-01-28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복지재단 조사…가장 선호하는 정책은 고령자전용 임대주택

서울에 사는 노·장년층은 일자리를 비롯해 전반적인 노후준비 체감도가 100점 만점에 평균 58점이라고 평가했다.

서울시복지재단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서울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와 만 60세 이상 2천25명을 작년 7∼8월 조사한 내용을 담은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장년층은 개인적인 노후 준비를 묻는 항목에서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준비’(65세 미만 47.5점, 65세 이상 42.5점)가 ‘건강 유지를 위한 규칙적 운동 및 건강검진’(65세 미만 72.5점, 65세 이상 67.5점)에 비해 미흡하다고 답했다.

재단은 “건강한 노후를 위해 적극적인 고령자 일자리 정책 홍보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노인을 위한 정책 중 가장 좋아하는 정책으로는 ‘고령자 전용 임대주택’을 꼽았다.

고령자 전용 임대주택(77.3%) 다음으로 선호하는 정책으로는 고령자 취업알선센터(57.1%), 정부지원 일자리 사업(54.4%) 등이 뒤를 이었다.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분야별 고령친화 체감도는 주택(63.6점→67.5점), 노인존중(64.5점→66.1점), 정보제공(68.2점→69.6점) 등 영역에서 높아졌다.

반면 환경(73.7점→69.4점), 여가(65.8점→62.5점) 영역은 소폭 하락했고, 일자리(53.6점→53.5점) 분야는 거의 변함이 없었다.

하영태 서울시 어르신복지과장은 “어르신 일자리를 지속 확대하고 다양한 여가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해 노년이 행복한 고령친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