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품 기억하기 위해 가져갑니다”

“세월호 유품 기억하기 위해 가져갑니다”

입력 2016-01-21 13:53
수정 2016-01-21 1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월호 가족 유류품 들고 안산으로 “아이들아 이제 그만 집에 가자”

“희생자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길 기원한다면 태워야 할 유품이지만, 기억하기 위해 가져가 보관할 겁니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646일이 지난 21일 오전 전남 진도군 군청사 뒤편에 보관 중이 세월호 희생자의 유품과 탑승객의 유류품이 차곡차곡 차량에 실렸다.

‘흩어진 기억을 진실의 품으로’라고 적은 펼침막이 내걸린 차량에는 세월호 가족, 기록팀, 자원봉사들의 손에서 손으로 옮겨진 희생자들의 옷, 가방, 신발 등이 차곡차곡 쌓였다.

“하나, 둘, 셋…천백육십구.”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들에는 이름 대신 1천169개의 번호가 하나하나 붙어 있었다.

맹골수도의 거센 물살에 휩쓸려 녹슨 가방, 진흙이 덕지덕지 묻어 제모습을 찾기 어려운 옷가지 등은 시간이 점차 지운 세월호 참사 당시 참혹함을 기억 속에 되살렸다.

그 속에는 세월호 이준석 선장의 배낭도 있었다.

대부분의 유류품이 주인을 찾지 못해 장시간 보관 중이지만, 이 선장의 가방은 감옥에 있는 주인이 찾아가지 못해 세월호 희생자들 유품 사이에 비닐봉지에 꽁꽁 싸여 숨어 있었다.

이날 유류품 이송 작업을 함께하던 단원고 희생자의 한 아버지는 사건 직후 아들의 옷가지를 찾아 받았지만, 여태까지 빨지도 못하고 꺼내보고 있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단원고 2학년 1반 김수진 학생의 아버지 김종기(52) 씨는 유류품을 하나하나 나르며 “유류품을 보니 여기에 아이들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상자 안에 갇혀 있는 거 같다”며 “이 물건들을 들고 수학여행에서 돌아온 아이들을 만날 줄 알았는데 유품으로 다시 만나게 돼 아프다”고 말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자원봉사자 송정근(56) 씨는 “가족들이 아플 것 같아 회사 월차를 내고 진도에 함께 왔다”며 “안타깝고 가슴 아파 견디기 힘들다”고 털어놨다.

유류품 중 누군가의 여행가방을 하나 꺼내 들고 안산으로 떠나기 전 진도 팽목항을 찾은 가족들은 등대 길과 임시 분향소를 들러 아이들의 이름을 목놓아 부르거나, 국화꽃을 조용히 놓았다.

4·16 가족협의회 인양분과장 정성욱(희생자 정동수 학생의 아버지)씨는 팽목항 등대 길에서 “뒤늦게나마 (유품과 유류품을) 데려간다”며 “아이들아 이제 그만 함께 집에 가자”고 외쳤다.

가족협의회와 4·16 기억저장소 측은 안산으로 가져간 유류품을 자원봉사자들과 하나하나 꺼내 씻고, 사진 찍어 주인을 찾아주거나 세월호 참사를 기억할 만한 장소에 보관할 계획이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