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미대생 박찬별씨
“태어날 때부터 앞을 못 보는 아이들도 저마다 마음속에 상상하는 색깔이 있어요. 초록색 산도, 빨간색 딸기도 자기만의 느낌에 따라 그릴 수가 있죠. 시각장애 아이들이 감동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도와주고 싶어요.”시각장애인 미대생 박찬별씨가 지난 2월 그린 대구대 미대 앞 호수의 이미지.
박찬별씨 제공
박찬별씨 제공
시각장애인으로 지난해 대구대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한 박찬별(21·여)씨는 19일 “시각장애인만이 창조할 수 있는 감동적인 미술 작품이 더 많이 세상에 빛을 발하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씨는 사물을 흐릿한 윤곽선으로 구분하고 코가 거의 책에 닿을 정도로 얼굴을 갖다대야 글씨를 간신히 읽을 수 있는 수준이다. 그나마도 갈수록 시력이 나빠지고 있다. “병원에서 이대로 방치하면 아예 못 보게 될 수도 있다고 들었어요.”
●미술 좋아했지만 맹아학교 진학
박씨는 어릴 때부터 미술을 좋아했지만 초등학교 3학년이던 2004년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일반 학교에서 맹아학교로 전학을 가야 했다. 한빛맹학교는 유치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갖추고 있지만 고등학교 과정에 미술 과목이 없었다.
“중학교 과정까지는 정규 과목에 미술이 있었고 제가 제일 좋아하는 시간이었죠. 미술 선생님이 돼서 시각장애를 겪는 아이들에게 그림 그리는 법을 가르쳐 주겠다는 꿈을 꿨어요.”
미술을 배울 수 없게 되자 고2 때까지 심하게 방황했다. “뭘 할지 막막했죠. 그때 담임 선생님이 ‘미술 한번 해 봐’라고 하시며, 미술 교육을 지원하는 민간단체 ‘우리들의 눈’의 엄정순 선생님 연락처를 주셨어요.”
●“미술교사 꿈꿨지만 답 못 찾아”
박씨는 본격적으로 미대 입시를 준비했고 재수 끝에 합격했지만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미술학원에서 정상적인 친구들에 비해 경력이나 실력도 부족했지만, 시각장애인에게 미술을 가르치는 교사의 배려심 없는 태도에 마음에 상처를 입기도 했다. 잘 안 보이는 눈을 비비며 오직 그림에만 몰입했다. “포기하고 싶을 땐 믿어 주는 가족과 선생님을 생각했어요.”
지금 박씨는 또 다른 출발선에 서 있다. 그는 “처음 대학에 들어왔을 때는 성공에서 온 자신감에 세상에 못 할 것이 없을 것만 같았다”며 “하지만 졸업을 하고 무엇을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간이 왔다”고 설명했다.
●“사람들의 편견, 작품으로 깰 것”
시각장애인 미대생으로서 자기가 잘해야 앞으로 다른 장애인 후배도 뽑아 줄 것이라는 책임감과 부담감도 크다. “여덟 살 때 손에 잡힐 듯 선명한 쌍무지개를 본 기억이 선명해요. 이런 기억 속의 이미지들을 독창적인 방법으로 화폭에 담고 싶은 거죠. 훌륭한 작품을 그려 시각장애인은 미술을 할 수 없다는 편견을 깨고 말 거예요.” 박씨는 어렵게 인터뷰에는 응했지만, 자신의 얼굴 사진이 공개되는 것은 사양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6-04-2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