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정화조 50년만에 사라지나…‘악취근원’ 폐쇄 시동

서울 내 정화조 50년만에 사라지나…‘악취근원’ 폐쇄 시동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1-10 11:23
수정 2018-01-10 1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술 발달로 정화조 없어도 한 번에 하수처리”음식물쓰레기 하수도에 버린다…서울시, 차세대 하수도 표준모델 마련

서울시가 도심 악취의 근원으로 꼽혀온 정화조 전면 폐쇄를 검토한다.

이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에 담아 버리지 않고 바로 하수도에 내려보내는 방안도 논의한다.

기술이 발달해 정화조 같은 중간 처리 과정이 없어도 빗물, 생활하수, 분뇨를 하나의 관에 모아 바로 처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1970∼1980년대 만들어져 낡은 데다 도심 악취를 발생시키는 하수도를 시대 변화에 맞는 차세대형으로 교체하기 위한 표준모델을 마련하겠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 하수도는 총 1만615.7km에 달한다. 생활하수, 분뇨가 하나의 관에 모여 물재생센터에서 처리되는 ‘합류식’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분뇨의 경우 가정집마다 설치된 약 60만개의 정화조에서 1차 처리된 후 하수도관으로 배출된다. 분뇨가 한동안 정화조에 저장돼 있다가 수거 차량이 가져가는 구조라 악취 발생의 원인이 돼왔다.

각 가정집에 정화조가 생긴 것은 1970∼1980년대 정부가 하수도를 구축할 당시하수처리를 위한 기술 수준이 미비했기 때문이다.

이후 하수 수집·운송기술이 발전하면서 분뇨를 정화조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하수도로 내려보내도 수질 기준에 맞춰 하수처리를 할 수 있게 됐다. 굳이 정화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1995년 하수관로 종합정비사업을 하면서 정화조를 폐쇄하려 했으나 악취 발생과 하수관 내 분뇨 퇴적 우려 등으로 폐쇄하지 못했다.

23년 만에 다시 정화조 폐쇄를 시도하는 서울시는 “높아진 시민 생활 수준에 걸맞은 대대적 하수도정비와 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차세대 하수도 표준모델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부터 해보겠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은 광진구 군자동·능동, 성동구 송정동 일대에서 한다. 2019년 6월까지 ‘군자-2소블럭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세우고 2020년 6월까지 설계를 마무리한다.

시범사업 지역에선 정화조를 폐쇄한다.

또 음식물 쓰레기를 개수대에 바로 버려도 하수관을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동한 뒤 고도화된 기술로 처리되도록 한다. 지금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봉투에 담아 버리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려 평상시보다 하수처리량이 많이 발생할 때에 대비해 하수도와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접목한다. 유량, 수질 계측기로 지역별 하수량, 오염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뒤 정화가 시급한 오수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하수도 설계·시공 기준을 다시 세워 튼튼하고 장기간 사용하는 하수도를 만들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으로 대대적 정비가 이뤄지면 시민 생활이 편리해지는 것과 동시에 하수도 수명이 늘어나 도로함몰, 침수 등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2023년부터 연간 3천억원을 들여 시내 25개 자치구 전체로 정화조 폐쇄 등 새로운 하수도 체계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