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으로 경찰관으로… 나라 지킨 애국자 15명 발굴

광복군으로 경찰관으로… 나라 지킨 애국자 15명 발굴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8-12-02 22:20
수정 2018-12-02 22: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찰, 광복군 독립유공자 전수조사

일제 강점기 나라를 되찾기 위해 싸웠던 광복군 중 15명이 광복 후 경찰관으로 해방 조국의 치안을 지키기 위해 활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광복군 독립유공자 567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앞서 이미 확인된 3명을 포함해 모두 15명이 광복군 출신이었다고 2일 밝혔다.

경남 부산경찰서 등에서 근무한 백학천(왼쪽) 경위는 일제 강점기 만주 국경지대에서 위화청년단을 조직해 1931년 일본 경찰 주재소를 습격했다가 체포돼 1년간 복역했다. 이후 1944년 광복군에 입대해 지하공작원으로 활동했다. 1949년 경찰에 입문해 1954년까지 근무했다. 1949~54년 경남 동래서에서 근무한 김학선 경사는 조선의용대 출신으로 1942년 광복군에 편입돼 항일 활동을 이어 갔다.

27대 치안국장을 지낸 장동식(오른쪽) 치안총감은 1943년부터 광복군 정보장교로 복무하며 일본군 내 한국인 병사 탈출공작과 정보수집 업무 등을 수행했다. 충남 대전서에서 근무한 백준기 경위는 1943년 광복군에 입대해 초모공작(모병), 정보수집, 적 후방 교란 등 활동에 참가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전신인 전략첩보국(OSS)에서 훈련받던 중 광복이 이뤄졌고, 6·25전쟁 때 전사했다.

일본군으로 징집됐다가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한 이들도 많았다. 경북 경주·영주서에서 근무했던 권구원 경감은 1944년 9월 징집됐다가 이듬해 1월 탈출 후 광복군에 입대했고, 경남 진해서장을 지낸 김기도 총경도 학도병으로 징집됐다가 중국에서 탈출해 1944년 12월 광복군이 됐다.

경찰 관계자는 “지금까지 확인된 독립운동가 출신 경찰관은 모두 26명”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발굴해 널리 알리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12-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