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할머니의 별세로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26명으로 줄었다.
나눔의 집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20살 때 공장에 취직할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중국 헤이룽장성(흑룡강성) ‘석문자’ 위안소에 끌려가 피해를 봤다.
해방 이후 생계를 위해 중국인과 결혼하여 중국 둥닝(동녕)에 정착했다. 2005년 여성부, 한국정신대연구소, 나눔의 집의 도움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하고 광주 나눔의 집에 들어와 생활해왔다.
이후 일본군 ‘성노예’ 문제해결을 위해 수요시위 및 증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2013년에는 일본 정부에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민사조정을 신청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소녀상에 말뚝 테러를 한 스즈키 노부유키와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을 비하한 일본 록밴드 ‘벚꽃 난무류’, ‘제국의 위안부’ 책의 저자 박유하 교수를 고소 소송에 참여하는 등 ‘성노예’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빈소는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되며, 장지는 광주시 퇴촌 나눔의 집 이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김순옥 할머니 별세에 애도의 뜻을 전했다. 진 장관은 “지난 10월 나눔의 집에 방문해 할머니를 직접 뵌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별세 소식을 접하게 돼 너무나도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고 여가부 측이 전했다.
이어 “이제 정부에 등록된 피해자 중 생존자는 단 26분으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피해자 한 분 한 분 더욱 성심껏 보살필 것”이라며 “모든 피해자분의 상처치유와 명예·존엄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유족을 위로할 예정이다. 여가부는 장례 비용도 지원하기로 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