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초임서 세금 떼고 학자금 상환 등 압박… 저축 꿈도 못꿔”
대졸자(대학원 제외) 취업률이 최근 5년 연속 하락해 지난해 62.6%를 기록했다. 현재 방식의 통계 조사가 실시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대졸자는 평균 230만원(초임)의 월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지난해 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의 중소기업에 취업한 한모(28)씨는 “월급에서 세금 떼고, 학자금 대출 상환금 80만원에 월세 등 기본 공과금을 제하고 나면 저축은커녕 생활비 쓰기도 빠듯하다”면서 “그나마 취업을 했다는 데 위안을 삼고 있다”고 말했다. 2017년 대졸 취업자가 약 1년(11개월) 뒤 계속 직장인으로 남은 비율(유지취업률)은 78.8%로 전년(76.8%) 대비 2.0% 포인트 높아졌다. 고용불안으로 인해 이직이나 직장을 관두고 더 나은 조건의 기업에 가기 위해 취업을 준비하는 비율이 더 줄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대졸 취업자의 전공별 월급 편차도 심했다. 계열별로 보면 공학은 260만 5000원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교육(194만 2000원)이나 예체능(183만 1000원) 등은 평균보다도 낮은 월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가장 높은 비중(약 60%)을 차지하고 있는 4년제 졸업자 취업률은 2012년 66.0%를 기록한 뒤 5년 연속 떨어져 62.6%를 기록했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세청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현 조사 방식이 도입된 2011년(65.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전문대와 일반대학원 졸업자 취업률도 각각 69.8%, 77.7%로 모두 전년(전문대 70.6%, 일반대학원 78.3%)보다 떨어졌다. 대학원과 대졸자를 합친 전체 취업률은 66.2%였다. 2011년 이후 67%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별 취업률을 보면 수도권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67.5%로 비수도권 65.4%보다 2.1% 포인트 높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취업률 격차는 전년(1.6%)보다 더 커졌다. 17개 시·도 취업률은 인천(69.5%), 충남(68.5%) 등 순으로 높았고 전북(62.8%), 전남(66.7%) 등이 낮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용위기 지역 지정 등 지난해 어려웠던 고용 상황이 취업률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12-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