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첫 정부 기념행사, 유엔군 비행기 날아오르던 ‘수영비행장’서 개최
김부겸 국무총리(왼쪽 세번째)가 25일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참전유공자와 유족 등이 참석해 열린 6.25전쟁 제71주년 중앙행사에서 묵념하고 있다. 6.25전쟁 행사가 2010년 정부 행사로 격상한 이후 지방에서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1.6.25 연합뉴스
25일 오전 10시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무대. 6·25 전쟁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피란수도’ 부산에서 정부의 6·25전쟁 71주년 기념행사가 처음으로 열렸다.
특히 행사장인 영화의 전당 일대는 전쟁 당시 국군과 유엔군 항공기가 날아올랐던 옛 ‘수영비행장’(유엔군 군용비행장)이 있었던 곳으로 의미를 더했다.
행사는 배우 이장우씨와 ‘참전용사들의 손녀’로 불리며 6·25전쟁 70주년 추진위원회 서포터즈 단장을 맡았던 캠벨 에이시아(13) 양의 사회로 진행됐다.
김부겸 국무총리와 이준석 국민의당 대표, 강민정 열린민주당 원내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의 발길도 잇따랐다.
이번 행사는 ‘기억 1129, 새로운 비상’을 주제로 열렸다. 1950년 6월 25일 전쟁 발발부터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까지 1129일을 기억하고, 국난을 극복한 힘으로 대한민국의 재도약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다.
참전용사들도 참가해 그날의 아픔을 회상하고 전우들을 기렸다.
6·25 전쟁 때 공군 최초 100회 출격과 평양 승리호 철교 폭파 작전에 참여한 김두만 전 공군대장은 “그때 우리 공군은 연락기 12대와 훈련기 10대가 전부였지만 우리는 비행기에 올랐고 전장을 향해 출격했다”면서 “저는 아직도 이날만 되면 가슴이 뜨거워지고 귓가에는 으르렁거리는 비행기 엔진 소리가 들려온다”고 말했다. 그는 “최초로 미군 부대가 착륙했던 수영 비행장은 이렇게 자랑스러운 문화 공간으로 변했다”면서 “이것은 조국을 위해 목숨을 마친 참전용사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사랑하는 조국이여, 당신을 위해 목숨을 바친 용사들을 기억해 달라”고 말했다.
6·25 최초 해전인 대한해협 전투에 이등수병으로 참전한 황상영 예비역 해군상사, 수도사단 제1연대 소속으로 수도고지 전투를 치렀던 송진원 예비역 육군준장도 모습을 보였다. 인천상륙작전과 도솔산 전투 등에 참전한 이봉식 예비역 해병중사, 여성의용군으로 참전해 G-2특공대 수색 및 정찰 임무를 수행한 이정숙 씨도 참가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부산은 피란살이를 감내하며 죽을힘을 다해 생명을 이어갔던 삶의 터전”이라며 “오늘 그 치열한 역사의 현장에서 1129일 동안 오직 나라를 지키는 영광에 살았던 참전 영웅들을 국민 여러분과 함께 기억하고 감사하며 더 넓은 평화를 향해 비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참전용사들의 피 끓는 애국을 기억하고 예우하는 일을 세대로 이어지는 자랑스러운 유산이 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면서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먼 나라까지 한걸음에 달려와 준 유엔 참전용사를 끝까지 기억하고 예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70여 년 만에 6·25 전쟁 공적이 확인된 생존 참전용사 1명과 유족 3명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했다. 생존 참전용사인 김종호 옹은 김화 동부 734고지에서 적진에 근접해 수류탄으로 막대한 피해를 막아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피난 수도 부산의 기억을 간직한 장소 6곳(임시수도청사, 부산항 1부두, 벡스코, 영도다리, 40계단 등)을 배경으로 각 군의 역동적인 의장대 공연 영상도 상영했다.
후배 장병이 참전 영웅에게 바치는 헌정 공연 ‘밀리터리 타투’(Military Tattoo)가 웅장하게 진행됐다. 행사는 참석자 전원이 함께 ‘6·25의 노래’를 제창하며 마무리됐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25일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참전유공자와 유족 등이 참석해 열린 6.25전쟁 제71주년 중앙행사에서 김종호 씨에게 화랑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6.25전쟁 행사가 2010년 정부 행사로 격상한 이후 지방에서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1.6.25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