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코로나19 백신
뉴스1
뉴스1
최원석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8일 “연구에 따라서는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5~6개월 정도는 재감염 위험이 크지 않지만 그 이후 증가한다’는 논문이 있다”며 “특히 (델타변이 등) 변이바이러스는 더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재감염 위험시기가 좀 더 앞당겨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백신 또한 접종 후 시간이 지나면 항체가가 떨어져 감염 우려가 있다. 2차 접종을 마친 후에도 부스터샷을 맞아야 하는 이유다.
최 교수는 “백신과 자연감염으로 생긴 항체의 면역반응 정도를 비교했을 때 자연감염 후 재감염 위험이 백신을 접종했을 때보다 좀 더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이 백신을 맞으면 미감염 접종자에 비해 감염 예방 효과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코로나19에 대항할 면역체계가 준비된 상태에서 1차 접종을 하면 백신을 두 번 맞은 것처럼 부스터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모더나·화이자와 같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은 보통 1차 때보다 2차 접종 때 두통, 발열 등의 부작용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데, 만약 1차 접종 후 부작용이 심했다면 이미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는 1차 접종 이후 부작용을 겪을 가능성이 4.59배 높지만, 2차 접종 이후 부작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 코로나19 감염 이후 어느 정도 지나야 백신을 맞을 수 있을까. 특별히 권고하는 기간은 없지만 전문가들은 우선 몸 상태가 회복되고서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한 가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치료 기간에 항체치료제나 혈장치료제와 같은 코로나19의 특이항체에 대한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 백신접종까지 90일의 간격을 두도록 권고하고 있다”면서 “이런 특별 치료를 받았던 감염자만 기간을 고려하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