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2018년 퇴원손상 심층조사 결과
추락, 낙상, 운수사고 환자 많아
평균 입원 일수는 13일, 사망자는 1.1%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10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18년 퇴원손상 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2018년 기준 119만여명으로 인구 10만명당 2310명이었다. 손상이란 각종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적 요인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한다.
손상 입원환자의 평균 입원일수는 13일이며, 1.1%인 1만2000여명이 사망했다. 전체 입원 중 사망환자의 10.3% 수준이다. 입원 환자의 39.1%는 추락과 낙상, 28.5%는 운수사고에 따른 것이며, 퇴원 환자의 5.5%는 요양병원 등 다른 병원으로 이동했다.
2018년 질환별 퇴원환자 분포를 보면 손상 환자가 16.5%로 가장 많았다. 손상에 이어 호흡계통 질환, 암, 소화계통 질환, 근육골격계통 질환, 순환계통 질환, 특정 감염성 질환 등의 순이었다. 하루 평균 손상 퇴원환자는 3267명 규모에 달했다. 연간으로 보면 119만명이 넘는다.
손상환자는 남성이 53.4%를 차지했고, 손상으로 입원한 연간 환자 가운데 51%는 여성이었다. 의도하지 않은 사고로 인한 손상이 96.6%로 대부분이었다. 자해나 자살, 폭행과 같은 의도적 손상은 3.2%로 나타났다.
원인으로는 추락·낙상에 의한 손상이 3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운수사고(28.5%), 부딪힘(9.9%) 순이었다.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는 척추로 추락·낙상 사고의 17.4%, 운수사고의 37.3%를 차지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예방가능한 보건문제로 손상 발생 규모와 원인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이를 활용한 예방관리사업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