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15일 33개 주요수술 환자 160만명을 조사한 ‘2020년 주요수술통계연보’를 발간했다. 통계에 따르면 전체 주요 수술 195만건 중 51만건은 환자 거주 지역이 아닌 타 시도에서 이뤄졌다. 타 지역에서 받은 수술은 뇌기저부(70.0%), 순열 및 구개열 수술(65.5%), 심장 카테터 삽입술(59.4%) 순으로 생명과 직결된 수술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거주 지역 내에서 받은 수술의 비율은 충주절제술(85.3%), 치핵수술(85.1%), 정맥류 결찰 및 제거수술(82.5%) 순으로 높았다.
한국인이 가장 많은 받은 수술은 백내장 수술이었다. 인구 10만명 당 백내장 수술 건수는 1329건으로, 2016년부터 매년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제왕절개수술(554건), 3위는 일반척추수술(356건)이다.
총 수술건수 1위인 백내장 수술을 제외하면 상급종합병원급에서는 내시경 및 경피적 담도수술, 담낭절제술, 스텐트삽입술, 의원급에서는 치핵수술, 제왕절개수술, 내시경하 부비동수술 순으로 많이 시행돼 요양기관 종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요수술 건당 진료비는 2016년 275만원에서 지난해 359만원으로 연평균 7.0% 증가해 환자 부담이 커졌다. 지난해 건당 진료비가 가장 비싼 수술은 관상동맥우회수술(3330만원), 심장수술(3290만원), 뇌기저부수술(1960만원)로 조사됐다.
받은 수술의 종류도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9세 이하는 편도절제술, 서혜 및 대퇴 허니아 수술, 충수절제술 수술 환자가 많았고, 10대는 충수절제술, 편도절제술, 치핵 수술을 많이 받았다. 20~30대는 제왕절개수술, 치핵수술, 충수절제술 순이었으며, 40대는 치핵수술이 가장 많았고 백내장수술이 뒤를 이었다.
50대 이후부터는 백내장 수술이 크게 증가했고, 60대 이후부터는 백내장 수술에 이어 근골격계 관련 수술(일반척추수술, 슬관절치환술)등이 많이 이뤄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