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소속인 전북 군산의료원이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사측과 마라톤 협상을 진행했으나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파업에 돌입했다.코로나19 진료 등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군산의료원노조 지부는 17일 “전북노동위원회 조정 중지 결정으로 오전 7시부터 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군산의료원 지부는 전북노동위에 쟁의조정을 신청해 사측과 임금 체계 개편,근로환경 개선 등 문제를 두고 교섭해왔지만 결국 접점을 찾지 못했다.
파업에 동참하는 인원은 군산의료원 직원 500여명 중 필수 인력을 제외한 250여명이다.
군산의료원 지부는 오전 8시 파업출정식을 시작으로 오전 10시 30분 도청 앞에서 파업투쟁승리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군산의료원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원광대학교병원에 위탁되면서 임금체계·직제가 위탁 병원 체계로 변경됐다. 이후 2014년 전북도 직영 병원으로 전환됐다.
군산의료원 지부 관계자는 “병원 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기본급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일을 많이 해야만 수당을 받을 수 있는 불안정한 환경에 있다”며 “다른 시·도의 지방의료원처럼 군산의료원도 지방공무원 체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19 상황에서 파업만큼은 하지 않으려고 했으나 사측이 교섭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는 등 파업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전북도 관계자는 “노조 파업으로 현장에서 정상적으로 근무하는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한층 가중될 것으로 본다”면서 “확진자가 속출하고 의료 역량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벌어지는 이번 파업으로 도민들이 큰 피해를 볼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군산의료원은 현재 코로나19 치료 병상 198개 중 170개를 사용해 확진자를 돌보고 있다. 전북에서는 최근 하루 1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으며, 병상 가동률도 85%대를 보이고 있다.
군산의료원노조 지부는 17일 “전북노동위원회 조정 중지 결정으로 오전 7시부터 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군산의료원 지부는 전북노동위에 쟁의조정을 신청해 사측과 임금 체계 개편,근로환경 개선 등 문제를 두고 교섭해왔지만 결국 접점을 찾지 못했다.
파업에 동참하는 인원은 군산의료원 직원 500여명 중 필수 인력을 제외한 250여명이다.
군산의료원 지부는 오전 8시 파업출정식을 시작으로 오전 10시 30분 도청 앞에서 파업투쟁승리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군산의료원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원광대학교병원에 위탁되면서 임금체계·직제가 위탁 병원 체계로 변경됐다. 이후 2014년 전북도 직영 병원으로 전환됐다.
군산의료원 지부 관계자는 “병원 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기본급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일을 많이 해야만 수당을 받을 수 있는 불안정한 환경에 있다”며 “다른 시·도의 지방의료원처럼 군산의료원도 지방공무원 체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19 상황에서 파업만큼은 하지 않으려고 했으나 사측이 교섭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는 등 파업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전북도 관계자는 “노조 파업으로 현장에서 정상적으로 근무하는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한층 가중될 것으로 본다”면서 “확진자가 속출하고 의료 역량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벌어지는 이번 파업으로 도민들이 큰 피해를 볼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군산의료원은 현재 코로나19 치료 병상 198개 중 170개를 사용해 확진자를 돌보고 있다. 전북에서는 최근 하루 1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으며, 병상 가동률도 85%대를 보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