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근무 임금보다 정시퇴근으로 여가 선호
절반이상, 우리나라 근로자 일 많이 하는 편
임금 근로자 88%가 주52시간 지켜지고 있다 답변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28일 고용노동부가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 조사한 ‘주 최대 52시간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절반 이상(55.8%)이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일을 많이 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적게 하는 편이라는 응답은 6.6%에 그쳤다. 정시 퇴근해서 여가를 즐기겠다는 근로자가 76.1%로 초과근무로 임금을 더 받겠다는 응답(23.5%) 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조사에 따르면 정시퇴근해서 여가를 즐기겠다는 응답은 남성(61.6%) 보다는 여성(79.0%), 고령층 보다는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다. 여가를 즐기겠다는 응답 비율은 10~20대가 71.1%, 30대 80.6%, 40대 69.7%, 50대 73.6%, 60세 이상 61.1%로 모든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일을 많이 하는 편이라는 인식은 남성(52.7%)보다 여성(58.8%), 고령층 보다 젊은층에서 더 많았다. 일을 많이 하는 이유로는 ‘업무가 많아서’라는 응답이 4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정한 소득’(27.8%), ‘비효율적인 업무 진행’(20.1%)이 꼽혔다. ‘본인의 성취와 만족을 위해서’라는 응답은 3.6%에 불과했다.
현재 직장에서 주52시간제가 지켜지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임금 근로자의 88.0%가 철저하게 또는 어느 정도 지켜지고 있다고 답했다. 주 52시간제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가장 필요한 사안으로는 기업의 준수의지(25.4%), 사회적 인식 변화(18.1%), 정부 지원(17.8%), 주52시간제 예외제도(17.4%) 등이 꼽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80세 미만 일반 국민 13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조사(무선 70%, 유선 30%)를 통해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2.72%p로 신뢰수준은 95%다.
주 52시간제는 지난 2018년 2월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도입돼 그해 7월부터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돼 지난 7월부터는 5인 이상 사업장까지 확대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