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한 기회, 더 목마른 MZ

공정한 기회, 더 목마른 MZ

박상연 기자
박상연 기자
입력 2022-01-02 21:52
업데이트 2022-01-03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직장인들이 바라는 새해

청년층 80% 이상 “기회 불공정”
좋은 일자리 기준 연봉 4500만원
새해 소망 1위로 ‘임금 인상’ 꼽아

직장인이 꼽은 새해 소망 1위는 임금 인상으로 나타났다.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 현실에 맞게 급여도 올랐으면 하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직장인들은 연봉이 평균 4500만원은 돼야 ‘좋은 일자리’라고 봤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공공상생연대기금과 함께 지난달 3~10일 20~50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전체 응답자의 63.7%는 ‘임금(연봉) 인상’을 새해 소망으로 꼽았다고 2일 밝혔다. 이어 고용 안정(32.7%), 일과 가정의 양립(17.3%)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청년 일자리 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14.3%가 “매우 나빠질 것”, 39.2%는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은 36.7%였으며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한 응답 비율은 9.8%에 그쳤다.

정규직(49.8%)보다 비정규직(59.0%), 월 500만원 이상 고임금(45.9%)보다 150만원 미만 저임금(58.1%) 응답자 중에서 부정적 전망이 높게 나왔다. 응답자의 75.1%는 ‘기회의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기성세대가 청년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20대와 30대가 각각 80.5%, 85.2%로 나타났다. 청년 세대일수록 공정에 대한 갈증이 큰 것으로 보인다.

‘현 정부가 청년을 위한 정책을 제대로 펼쳤는가’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73.7%로 부정적 평가가 대체적이었다. 차기 정부의 청년 정책도 ‘기대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61.2%로 과반을 넘었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의 연봉은 평균 4526만 2000원으로 조사됐다. 최소 기준으로 ‘3000만원 이하’를 제시한 응답자는 28.9%였고 ‘5000만원 초과’라고 답한 응답자는 21.0%였다.

직장갑질119는 “노동시장 양극화가 심화하며 여성이거나 20대, 비정규직, 5인 미만 규모 직장 소속, 월 150만원 미만 저임금 노동자 등 일터의 약자들은 연봉이 3000만원만 돼도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상연 기자
2022-01-03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