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아끼려 온라인서 편법 공유
양성 판정 자가키트 중고 거래도
확진 판정을 받은 지인에게 “함께 있었다”는 말을 해 달라고 부탁해 보건소에서 밀접접촉자 검사 대상 문자를 받은 뒤 PCR 검사를 하러 가는 게 대표적이다. “주변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하도록 해서 두 줄 표시(양성 판정)가 나오면 그걸 가지고 선별진료소로 가라”는 글도 인터넷상에 올라왔다. 누구의 검체인지 확인할 수 없는 맹점을 이용해 남의 자가검사키트를 갖고 무료 PCR 검사를 받으라는 것이다. 한때 중고거래 플랫폼에는 “양성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한다”는 내용의 글도 올라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얼마 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박경진(29·가명)씨도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친구에게 보건소에 본인과 접촉했다는 말을 하겠다고 제안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 밀접접촉을 하진 않았지만 함께 운동을 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박씨는 27일 “선별진료소에 가 보니 PCR 검사를 받으려면 ‘자가검사키트 양성 결과를 보여 주거나 확진자와 접촉했다는 문자를 보여 달라’고 하더라”며 “의심 증상이 있는 친구가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려면 문자라도 보내 줘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확진자와 동거하는 밀접접촉자로 분류되거나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는 경우 외에도 의사 소견서가 있으면 선별진료소에서 무료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보니 “소견서 잘 써 주는 병원을 추천해 달라”는 글도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개인이 의료기관에서 자비로 PCR 검사를 받으려면 8만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 병원마다 금액 차이가 있다 보니 인터넷상에는 조금이라도 싸게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병원 정보도 올라오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김모씨는 “신속항원검사 결과만 믿고 학교에 보냈다가 나중에 양성이 나오면 확산 주범이란 얘기를 들을까 겁난다”고 말했다.
2022-02-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