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L변이 국내 상륙…방대본 “재감염 증가 예상”

XL변이 국내 상륙…방대본 “재감염 증가 예상”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4-12 15:18
수정 2022-04-12 18: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본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등 다른 변이보다 생존 기간이 길다. 픽사베이 제공.
일본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등 다른 변이보다 생존 기간이 길다.
픽사베이 제공.
코로나19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인 ‘XL(엑스엘)’이 국내에 상륙했다. 감염자는 지난달 23일 전남에서 확진판정을 받은 40대 남성으로, 3차 접종까지 완료했으며 감염 추정 시기에 해외 여행을 한 적도 없었다. 이미 XL변이가 국내에 퍼졌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2일 브리핑에서 “XL변이 감염자는 인후통이 있었으나 격리치료 중 특별한 이상 없이 잘 회복하고 현재는 격리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이 변이가 국내에서 발생했는지 해외 유입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영국에서 확인된 (XL변이의) 염기서열과 거의 유사해 해외 유입 가능성도 높게 본다”고 덧붙였다.

해외 여행 이력이 없는 40대 남성이 해외 유입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또 다른 XL변이 감염자가 있을 개연성이 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많지는 않아도 국내에 XL감염자가 꽤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XL은 기존 오미크론(BA.1)과 스텔스 오미크론(BA.2) 유전자가 재조합된 17가지(XA~XS) 재조합 변이 중 하나다. 이날 일본에서 발견된 XE변이는 스텔스 오미크론보다도 전파력이 12.6%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XL은 전파력·중증도 관련 정보가 없다. 지난 2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고, 한국에서 확진자가 나오기 전까진 감염사례가 영국에서만 66건에 불과해 데이터가 충분히 쌓이지 않았다.

이 단장은 “XL재조합 변이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유행 감소세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새 변이가 등장했지만 다음주 거리두기 해제는 예정대로 진행된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TBS라디오 인터뷰에서 인원·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느냐는 물음에 “그런 방안까지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6∼7월이 되면 의료체계가 전환되고 야외에선 마스크를 벗는 등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방대본이 향후 오미크론에 재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방대본이 올해 3월 19일까지 누적 확진자(924만 3907명)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한 결과 2만 6239명(0.284%)이 재감염 추정 사례로 파악됐다. 이중 2만 6202명은 2회 감염자, 37명은 3회 감염자다. 방대본은 재감염률이 3%수준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재감염 후 위중증자는 14명, 사망자는 15명이다.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은 85.2%를 기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