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화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 주무관 본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9/SSI_20220419172313_O2.jpg)
본인 제공
![최명화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 주무관 본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9/SSI_20220419172313.jpg)
최명화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 주무관
본인 제공
본인 제공
오른 팔이 마비된 그는 모든 업무는 왼팔로 한다. 오른손잡이였던 그는 6살 때 교통사고를 당한 뒤 왼손을 쓰는 일에 적응해야 했다. 장애보다 일터나 일상에서 느끼는 차별이 더 높은 벽이었다. 사기업에서는 “회사가 손해를 보면서 장애인을 채용했다”며 주말·야간 근무를 강요하거나 인신공격을 하는 직원들도 적지 않았다. 2015년 공직에 지원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최 주무관은 “장애인 전국체전에 수영 선수로 출전했을 때 만난 선수들이나 부모님들은 충분히 잘 일할 수 있음에도 인정받을 기회가 없다는 데 고민이 컸다”면서 “공공 부문에서 장애인 채용이 늘어나려면 나부터 일을 꼼꼼하게 잘 해내야 한다는 압박감도 느낀다”고 했다.
![정호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 주무관 본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9/SSI_20220419172419_O2.jpg)
본인 제공
![정호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 주무관 본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19/SSI_20220419172419.jpg)
정호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 주무관
본인 제공
본인 제공
장애인 공무원들의 근무 환경도 나아지고 있다. 최 주무관과 같은 청사에서 일하는 장애인 동료들은 지난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책상이나 헤드셋으로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 같은 보조공학기기를 받았다.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기기를 쓰면 왼팔에 가는 부담을 덜 수 있지만, 함께 쓰는 사무실에서 말하는 소리가 방해가 될까봐 최 주무관은 신청하지 않았다.
장애인 이동권도 개선되고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대중교통이 아닌 도보나 승용차로 출퇴근한다. 최 주무관은 “비 오는 날 한손으로 손잡이도 잡고 우산을 들다가 부딪히면 짜증을 내는 사람들도 있다. 장애인 콜택시도 출퇴근 시간에는 이용이 거의 어렵다”면서 “휠체어는 타고 내리는 데 시간이 걸리다보니 더 고충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