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6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 조사 결과
“상용근로자 증가로 분배지표 개선”
코로나19로 일자리 줄어든 영향 미친듯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는 다소 완화
서울의 한 인력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거리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스1
25일 고용노동부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6월 기준 상용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15.6%로 전년 보다 0.3%p 낮아졌다고 밝혔다. 실태조사 대상은 3만3000개 표본 사업체내 근로자 97만여명이다. 저임금 근로자란 임금 총액이 중위임금의 3분의 2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중위임금은 월 297만원이다.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008년 이래 줄곧 20%대를 유지하다 2017년 19.0%를 기점으로 최근 5년간 계속 10%대를 유지하고 있다. 2019년 17.0%, 2020년 16.0%에 이어 지난해에는 15.6%를 기록했다.
지표상으로는 임금 관련 분배 상황이 개선되긴 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일자리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격차는 다소 완화됐다. 지난해 6월 기준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 비율은 72.9%로, 전년 6월의 72.4%에 비해 0.5% 포인트 축소됐다. 최근 5년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 비율은 2017년 69.3%, 2018년 68.3%, 2019년 69.7%, 2020년 72.4%, 20221년 72.9%로 서서히 개선되는 추세다.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노동조합 가입률은 10.0%로 전년과 같았다. 고용형태별 노조 가입률은 정규직 13.1%, 비정규직 0.7%다. 정규직은 전년에 비해 소폭(0.1% 포인트) 상승했고 비정규직은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정향숙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코로나의 영향이 많았던 일일 근로자나 단시간 근로자 등을 포함한 일용근로자, 자영업자는 근로실태 조사 지표를 만드는 데 제외돼 있어 제한적인 측면이 있다”면서 “그럼에도 상용근로자 증가 등으로 분배지표 개선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