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찾아온 과수화상병 공포..지난해보다 이틀 빨라

올해도 찾아온 과수화상병 공포..지난해보다 이틀 빨라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입력 2023-05-13 09:52
수정 2023-05-13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일 현재 전국서 7건, 충북 4건 최다, 경기·충남서도 발생, 아직 치료제 없어

충북도 농업기술원 직원들이 과수화상병에 걸린  나무를 찾기위해 과수원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 제공.
충북도 농업기술원 직원들이 과수화상병에 걸린 나무를 찾기위해 과수원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 제공.


올해도 과수화상병 때문에 충북지역 농가와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3일 충북도에 따르면 올들어 전날 오후 6시 기준 현재 경기, 충남, 충북 등 전국에서 7건의 과수화상병이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많은 4건이 충북 농가다. 지역별로 충주 3건, 진천 1건이다. 과종은 사과 세 농가, 배 한 농가다. 세 농가는 과수화상병이 전체 나무의 5% 이상에서 발생해 모든 나무를 뿌리째 뽑아 묻는 폐원 절차가 진행중이다. 한 농가는 5% 미만이라 부분매몰중이다. 올해 첫 발생일은 5월 7일로 지난해보다 이틀 빠르다. 발생건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과수화상병 공포가 또다시 찾아오자 방역당국은 지난 8일부터 비상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각 시군들은 과수원 청결관리, 주변 과수원 방문 자제, 전정가위 등 작업도구 소독, 적극적인 예찰활동 등을 당부하고 있다. 앞서 방역당국은 도내 모든 사과와 배농가를 대상으로 개화기 이전과 이후로 니눠 총 세차례에 걸쳐 예방약제를 살포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에 발생한 농가들도 약제를 뿌린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약제가 100% 예방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농촌진흥청이 실험한 결과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잎과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며 말라 죽는 과수화상병은 1793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다. 국내에선 2015년 경기 안성의 배 농장이 첫 사례다. 치료제는 아직 없다. 정확한 원인도 규명되지 않았다. 과수화상병에 걸려 폐원된 과수원은 2년간 과수 농사를 짓지 못한다. 지난해까지는 3년이었다. 폐원되면 국비 80%, 도비 20%로 손실보상금이 지급된다.

충북지역 과수화상병 피해는 최근 5년간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연도별 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은 2018년 35건에 29.2㏊, 2019년 145건에 88.9㏊, 2020년 506건에 281㏊, 2021년 246건에 97.1㏊, 2022년 103건에 39.4㏊다. 다행히 2020년 이후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충북은 시군별로 과수화상병 차단 가상훈련까지 실시하는 등 해마다 사투를 벌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