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매개체 ‘작은빨간집모기’. 연합뉴스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8일 울산지역에서 작은빨간모기가 발견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9일 빨리 발견됐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채집된 모기에서 일본뇌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등 5종의 병원성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3월 23일 제주와 부산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올해 처음으로 확인돼 질병관리청에서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밤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반적으로 6월에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고, 7∼9월 밀도가 높아지고 10월까지 관찰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 모기에게 물리면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극히 일부에서 고열·두통·경련·혼수상태 등 급성 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과 예방 접종이 중요하다”며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아동은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하고, 가정에서나 야외활동을 할 때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