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 작업 중 동료에게 “혼자 작업하기 힘들다”
14분 만에 도착했지만 지하 2층서 뒤늦게 발견


서울신문DB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1시 20분쯤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의 한 아파트 승강기 통로 안에 들어가 수리 작업을 하던 A(28)씨가 7층 높이 20m에서 지하 1층으로 추락해 숨졌다.
A씨는 엘리베이터가 고장 났다는 신고를 받고 혼자 수리 작업에 나섰으며, 사고 직전 동료에게 “혼자 작업하기 힘들다”며 문자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14분 뒤, 동료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사고가 벌어진 뒤였다.
지하 2층에서 떨어진 A씨를 찾는 데 시간이 걸리면서 119 신고는 7분 지나 이뤄졌고, 추락한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A씨가 소속된 업체는 오티스엘리베이터유한회사 강북지역본부로, 사고 발생 하루 뒤인 24일 “자세한 상황 파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해당 업체는 근로자 50인 이상으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적용 대상이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원·하청 업체의 안전보건 조치 의무 여하에 따라 경영책임자 및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이다.
정부는 지난 2018년 고시를 통해 승강기 점검 시 2명 이상이 하도록 권고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불과 일주일 전에도 경기 오산시의 한 상가 건물에서 혼자 승강기를 점검하던 30대 작업자가 추락해 숨지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