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이 느끼는 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전북연구원 전북도민 행복지표 참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24/SSC_20230724154255_O2.jpg)
![전북도민이 느끼는 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전북연구원 전북도민 행복지표 참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24/SSC_20230724154255.jpg)
전북도민이 느끼는 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전북연구원 전북도민 행복지표 참조
전북연구원은 24일 도민 스스로 자신의 행복도를 평가한 ‘2023 전라북도 행복 지표’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분석된 전북도민의 행복 지표는 주관적 행복감, 경제, 가족관계, 건강, 사회적 관계, 문화여가, 복지서비스, 지역사회 안전, 주거 여건, 환경, 교육 총 11개 지표로 각 지표당 2~3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했다.
조사에서 전북도민은 가족관계(7.35점), 가족과의 접촉(7.30점), 가족의 건강(7.23점) 등 가족 지표의 행복도가 높다고 응답했다.
반대로 노후준비(5.55점)에 대한 행복도가 가장 낮았고, 교육의 질(5.64점), 교육비용(5.62점), 소득(5.57점), 대기(5.57점) 등도 행복도가 낮았다.
집단별로 구분해보면 20~30대는 주거,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은 경제, 동남권·동북권은 복지서비스 등의 지표가 낮게 나왔다.
이에 따라 전북연구원은 전라북도의 전반적인 행복도 개선을 위해 행복 취약 집단과 그들의 취약 지표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동영 연구위원은 “행복도 증진을 위해 행복 취약 지표 관리 외에도 사회적 관계 만족도 개선을 위해 사회적 고립이나 외로움을 공공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외로움 대응부서 신설’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