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최대규모 ‘광주역 스타트업 창업밸리’ 본격화

호남권 최대규모 ‘광주역 스타트업 창업밸리’ 본격화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입력 2024-01-18 21:37
업데이트 2024-01-18 2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기 창업지원시설 ‘빛고을창업스테이션’ 올 6월 준공·하반기 개관
‘푸른이음센터’ 올해 완공…연구개발지원 ‘복합허브센터’ 4월 첫삽
1668억 투입 도시재생혁신지구 창업시설 2027년까지 단계별 구축

이미지 확대
광주역 활성화 계획에 따른 시설 배치도.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역 활성화 계획에 따른 시설 배치도.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시가 핵심사업으로 추진하는 호남 최대 규모 ‘광주역 스타트업 창업밸리’가 가시화되고 있다.

오는 4월엔 연구개발(R&D) 융복합시설인 ‘복합허브센터’가 첫 삽을 뜨고 6월에는 초기창업지원시설인 ‘빛고을창업스테이션’이 준공돼 하반기 운영을 시작한다. 복합문화복지공간인 ‘푸른이음센터’도 하반기 완공된다.

광주시는 ‘광주역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추진 중인 호남권 최대 규모 ‘광주역 스타트업 창업밸리’가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창업밸리 마중물 사업인 ‘빛고을창업스테이션’과 ‘푸른이음센터’는 올해 완료된다. 또 부지 매입을 마친 ‘광주역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은 올해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오는 6월 준공, 하반기에 개관하는 ‘빛고을 창업스테이션’에는 초기 창업·중소벤처기업들이 입주해 시제품 제작, 제품의 경제성 평가, 특허출원 등에 나선다. 광주시는 제품 판매활동 교육과 지역펀드 활용 및 투자자 연결 등을 지원한다.

노후건물을 리모델링해 구축한 ‘어울림팩토리’는 현재 창업기업 6곳이 입주해 미래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주민 복합문화복지공간인 ‘푸른이음센터’도 올 하반기 준공한다. 푸른이음센터는 광주역사와 푸른길공원 사이 철도부지에 들어선다.

또 광주역 철도유휴부지를 활용한 ‘푸른이음공원 조성사업’도 국가철도공단과 부지 협의를 마친 후 하반기 착공할 계획이다.

이들 공간을 유기적으로 이어주게 될 ‘보행환경 개선사업’도 6월 마무리된다. 광주시는 이 공간을 ‘걷고 싶은 길, 광주RE100’의 모델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광주역 도시재생사업의 상징이자 열린공간인 ‘문화마당’은 내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며, 이를 위해 올해 디자인 구상을 마칠 예정이다.

광주시는 광주역 유휴부지에 경제적 파급력이 높은 창업지원 기반시설(인프라)을 구축됨으로써 쇠퇴한 구 도심이 경제적‧문화적 재생을 통해 자생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부지 매입을 마치고 국가시범지구로 지정고시된 ‘광주역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도 올해 본격 추진된다.

광주시는 이 사업에 오는 2027년까지 국비 250억원 등 총 1688억원을 투입해 ‘복합허브센터’, ‘기업혁신성장센터’, ‘사회적경제혁신타운’, ‘일자리연계형주택’ 등을 단계적으로 건설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오는 4월 연구개발(R&D) 융복합지원시설인 ‘복합허브센터’ 착공을 시작으로 ‘기업혁신성장센터’, ‘사회적경제혁신타운’, ‘일자리연계형주택’ 등의 시행계획인가와 실시설계를 올해 안에 완료한 뒤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에 들어간다.

광주시는 이들 사업이 완료되는 2027년부터 광주역 창업시설을 통합 운영하고 광역권 창업시설들과 연계해 창업 전 과정을 원스톱 지원할 계획이다.
광주 홍행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