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있어야 할 하사가… 아덴만 청해부대원 실종

자고 있어야 할 하사가… 아덴만 청해부대원 실종

입력 2014-04-16 00:00
수정 2014-04-16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제 오전 1시 침실서 마지막 목격

소말리아 인근 아덴만에서 해적 퇴치와 선박 보호 임무를 맡고 있는 청해부대 소속 사병 1명이 배에서 실종돼 군 당국이 수색에 나섰다. 청해부대에서의 인명 사고는 2009년 3월 파병 이후 처음이다.

청해부대 강감찬함 연합뉴스
청해부대 강감찬함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15일 “현지시간으로 오늘 새벽 청해부대 강감찬함 통신담당관 하모(22) 하사가 예멘 무칼라항 서남쪽 약 180㎞ 해상에서 실종됐다”면서 “함정 내부와 외부, 인근해역에 대한 수색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소말리아 지부티에 있는 연합해군사령부는 사고 해역 인근 각국 함정에 청해부대의 수색 작전을 지원할 것을 지시했다.

합참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25분 당직 근무 교대를 위해 하 하사를 깨우러 들어간 동료가 침실에서 자고 있어야 할 하 하사가 사라진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 동료들이 마지막으로 침실에서 하 하사를 목격한 시간은 이날 오전 1시로 알려졌다.

올해 2월 10일부터 소말리아 해역에 파견된 강감찬함에는 300여명의 해군 장병들이 탑승해 있으며, 하 하사 실종 당시 강감찬함은 싱가포르 선적 등 3척의 상선 호송 임무를 맡고 있었다. 2012년 7월 입대한 하 하사는 지난해 11월 강감찬호에 배치됐다. 합참 관계자는 “실종 당시 기상은 파고 1.5m, 시정 약 9㎞(5해상마일)로 양호했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놓고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하 하사의 실종이 심각한 신변상의 이상인지를 놓고 여러 추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군 당국은 섣부른 예단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군 관계자는 “구체적 실종 경위는 확인되지 않은 만큼 하 하사의 신병이 어떤 상태인지 단정하기 어렵다”면서 “가족들의 심경을 헤아려 억측을 자제해 달라”고 말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008년 결의안 1816호와 1838호를 통해 각국에 소말리아 해역의 해적 퇴치를 위한 함정과 항공기 파견을 요청함에 따라 우리 정부는 2009년 3월부터 청해부대를 소말리아 인근 아덴만 해역 일대에 파견해 왔다. 청해부대 최영함은 2011년 1월 21일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해운 소속 선박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기도 했다.

청해부대 장병들은 희망자 위주로 선발하며 한 달에 200여만원의 해외 파병 수당을 받는 등 정예 요원으로 자부심이 크다. 강감찬함은 2007년 배치된 4500t급 구축함으로 길이 149.5m에 폭 17.4m로 최고 속력이 30노트다. 127㎜ 함포와 어뢰, 대공미사일로 무장한 우리 해군의 주 전력이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4-04-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