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조건·문장 해석따라 달라” “고교에서 가르치는 부분 아냐”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올해 수능에서 출제한 생명과학Ⅱ 8번 문항 등에 대한 이의신청으로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수능 세계지리 8번 문항 출제 오류에 이어 올해에도 오류 논란들이 불거지자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서울신문 11월 14일자 8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11/15/SSI_2014111504165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11/15/SSI_20141115041659.jpg)
이와 관련, 정부출연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모든 경우에 문제가 성립하는 게 아니라 젖당의 온도나 산성도에 따라 결합을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며 “불완전한 문제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의 다른 전문가도 “실제 실험과 관련해 정확하게 판단하면 ㄴ만 답이라고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이용철 한성과학고 교사는 “조절유전자도 단백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는 게 맞다”면서 “학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대다수 교사가 수업에서 잘 가르치는 부분은 아니어서 논란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교육기관인 메가엠디의 강치욱 강사는 “학생 일부가 ‘젖당이 있을 때’라는 가정을 ‘젖당이 있을 때만’으로 잘못 생각한 것 같다”며 “문장 해석에 따라 논란이 생길 수도 있지만 큰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평가원은 문항에 대한 오류 여부를 오는 24일 발표한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11-1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