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38개국 중 26개국 만 6세 입학… 4개국만 만 5세

OECD 38개국 중 26개국 만 6세 입학… 4개국만 만 5세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2-07-31 20:32
업데이트 2022-08-01 0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 5세 조기입학도 갈수록 줄어
한국 등 18개국 만 17세에 대입

이미지 확대
정부가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6세에서 5세로 낮추려 하면서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은 대부분 한국처럼 6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교육지표 2021’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38개 회원국 가운데 26개국의 초등학교 입학연령이 6세였다. 핀란드·에스토니아 등 8개국은 1년 더 늦은 7세였다. 한국보다 더 일찍 초등학교에 입학시키는 건 4개국(영국 4~5세, 호주·아일랜드·뉴질랜드 5세)뿐이었다. 대학교에 입학하거나 취업을 할 수 있는 후기 중등교육 종료 시점 역시 한국을 포함해 18개 회원국이 17세, 15개국은 18세, 2개국은 19세였다. 16세는 2개국뿐이었다.

현행 제도에서도 초등학교에 1년 일찍 입학하는 게 불가능하진 않다. 하지만 실제 이 제도를 이용하는 사례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1∼2월생이 3월생보다 한 해 빨리 입학했는데, 이 때문에 자녀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것을 우려해 연간 4만명가량이 취학을 유예하거나 아예 조기입학을 시키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정부가 취학기준을 ‘3월생∼이듬해 2월생’에서 ‘1∼12월생’으로 바꾸면서 조기입학은 급감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조기입학은 2009학년도에 9707명을 기록한 뒤 2011년 4089명, 2012년 3086명, 2014년 1848명으로 급격히 줄었고 2019년부터는 500∼600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2021년에는 537명에 불과했다.



강국진 기자
2022-08-01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