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년제 대학교 13%가 등록금 인상…12년 만에 ‘최다’

올해 4년제 대학교 13%가 등록금 인상…12년 만에 ‘최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4-29 15:15
업데이트 2024-04-29 15: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7곳 이어 올해 26곳 인상
지방 사립대 중심…평균 682만원

이미지 확대
올해 4년제 일반대학 가운데 13%가 넘는 26개 대학이 등록금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등록금 동결 정책을 실시한 2012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23개 일반대학과 142개 전문대학 등 총 409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2024년 4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사이버대학·폴리텍대학을 제외한 4년제 일반대·교육대 193개교의 등록금 공시를 살펴보면 166개교(86.0%)는 등록금을 동결했고 1개교는 인하(0.5%)했다. 26개교(13.5%)는 등록금을 인상했다. 이에 따라 2024학년도 학생 1인이 연간 부담하는 평균 등록금은 682만 7300원으로 전년(679만 4800원)보다 3만 2500원(0.5%) 상승했다.

대학가에 따르면 주로 비수도권 사립대들이 4~5%가량 등록금을 인상했다. 경동대, 계명대, 조선대, 동아대, 경성대 등 일반 사립대와 감리교신학대, 서울기독대, 영남신학대, 총신대, 한일장신대, 호남신학대 등 종교 계열 대학이 등록금을 올렸다. 올해 법정 등록금 인상 상한선(직전 3년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의 1.5배)은 5.64%로 대학들은 이 한도 안에서 등록금을 올릴 수 있다.

설립 유형별 평균 등록금은 사립이 762만 9000원, 국공립은 421만 1400원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대학은 평균 768만 6800원, 비수도권은 627만 4600원이었다. 계열별 평균 등록금은 의학(984만 3400원), 예체능(782만 8200원), 공학(727만 7200원), 자연과학(687만 5500원), 인문사회(600만 3800원) 순이었다.

전문대의 2024학년도 등록금은 130개교 중 111개교(85.4%)가 동결했고 18개교(13.8%)는 인상, 1개교(0.8%)는 인하했다. 학생 1인이 연간 부담하는 평균 등록금은 618만 2600원으로 전년(612만 7200원) 대비 5만 5400원(0.9%) 상승했다.

교육부는 2012년부터 등록금을 올리는 대학에 국가장학금Ⅱ 유형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인상을 억제했다. 하지만 최근 가파른 물가 상승과 학령인구 감소로 재정난이 심해지면서 등록금을 올리는 대학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에도 17개 대학이 일제히 등록금을 인상했다.
김지예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