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급성심근경색 증세를 일으킨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입원 중인 1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급성 심근경색으로 입원 중인 이건희(72) 삼성그룹 회장이 병세 호전에 따라 입원 9일 만인 19일 중환자실에서 일반 VIP병실로 옮겼다.
삼성의료원은 “이건희 회장은 모든 검사 결과가 매우 안정적이고, 상태가 많이 호전되어 어제(5월 19일) 일반 병실로 옮겼다”고 20일 밝혔다. 삼성그룹 미래전략실도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 회장은 10일 저녁 급성 심근경색으로 순천향대 서울병원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았으며, 11일 새벽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긴 이후 그동안 이 병원 3층 심장내과 중환자실에서 저체온 치료를 받아왔다. 앞서 의료진은 18일 “모든 검사 결과가 매우 안정적이고 완만하게 회복 중이다. 조만간 일반 병실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었다.
이 회장은 이후 13일 오후까지 약 60시간에 걸쳐 저체온 치료를 받았으며, 심장 상태가 호전돼 12일 오전에는 심폐보조기인 에크모(ECMO)를 제거했다. 저체온 치료란, 막혔던 혈관이 트여 인체 조직에 혈류 공급이 재개되면 활성산소 등 해로운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온을 32∼33도 정도로 낮춰 세포 대사를 떨어지게 함으로써 뇌 등 주요 장기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법이다.
이와 함께 의료진은 13일부터 진정치료를 계속하고 있다. 진정치료란 환자에게 진정제를 투여, 일정 기간 수면 상태에서 생체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치료이다. 의료진은 “이 회장이 고령인데다 지병이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해 의식 회복을 서두르기보다는 심장과 뇌가 최상의 상태가 될 때까지 진정치료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의 의식 회복이 늦어지면서 항간에는 다양한 루머가 나돌았으며, 일부 매체는 사망 추정보도까지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과 삼성서울병원 측은 “안정된 상태”라며 위독설을 일축하고, 근거없는 보도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이 회장 병실에는 부인 홍라희 리움미술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에버랜드 패션사업부문 사장 등 딸들이 지키고 있으며, 장남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이 수시로 병원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