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즉 요통은 척추와 관계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척추뼈, 추간판으로 불리는 디스크, 관절이나 인대, 신경, 혈관 등 복합적인 요소에서 기인하는 원인을 따져봐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허리통증을 막는 방법이라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그 중에서도 유독 허리만 아픈 게 아니라 다리나 팔까지 저리는 척추질환이 있는데,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환자 입장에서는 허리가 아픈 건지, 다리가 아픈 건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아 병원을 찾게 되는 질환으로, 보통 걸을 때 다리가 함께 저리는 게 주요 증상인데, 심해지면 보행이 어려워지고, 점점 감각이 둔해져 대소변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허리뿐 아니라 보행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뼈 가운데에는 신경이 지나가는 관(척추관)이 있는데, 척추관은 신경다발이 지나가는 구멍이고 추간공은 신경가지가 지나가는 구멍이다.
또한 추간공에는 신경가지뿐 아니라 혈관, 교감신경절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추간공 인대로 나누어져 있다. 추간공 인대는 그물망처럼 얽혀있어 척추에서 발생한 염증으로 자주 막히게 되면서 추간공 협착이 시작된다.
그물망처럼 얽혀있는 추간공 인대를 간단히 제거하여 막힌 추간공을 뚫고 염증치료를 완전하게 하는 것이 ‘추간공 확장술’이다. 척추관 협착증이 진행되어 경막외 카테터로 추간공을 접근하기 힘든 환자도 추간공 확장술을 실시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전문의들의 전언이다.
추간공 확장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과 부종, 신경 주위의 유착까지 치료할 수 있는 최신 기법으로, 시술시간이 20~30분 정도로 짧으며 출혈이 거의 없어 회복이 빠르며 입원이 필요 없다. 또한 국소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부담이 적어 고혈압, 당뇨 등을 가진 고령자도 문제없이 시술이 가능하다.
광혜병원 박경우 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의 이 같은 특징으로 인해 고령환자뿐 아니라 만성적인 허리 통증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관심이 높다”면서 “조직손상이나 상처의 염려가 적어서 수술효과가 높은 것도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