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18·함부르크)은 진흙 속에 묻힌 진주였다. 지난여름 독일 프로축구 분데스리가 프리시즌 때부터 빛을 드러냈다. 9경기를 뛰며 무려 9골을 터뜨렸다. 부상 때문에 늦게 시즌을 시작한 10월 말 이후로는 7경기에서 3골을 터트렸다. 독일 언론들은 난리였다. “그 나이에 분데스리가에서 뛰는 것만으로도 놀라운데 골 사냥에도 능숙하다.”고 떠들었다. 또 있다. 조광래 대표팀 감독이다. 눈과 귀가 번쩍 뜨였다. ‘세대 교체’를 유난히 강조하던 그였다.
이달 초 손흥민을 직접 본 조 감독이 이번엔 그를 제주로 불러들였다. 새해 1월 8일부터 열리는 아시안컵 축구대회에 대비한 전지훈련. 그러면서도 조 감독은 “완전히 특출난 재능을 보이지 않는 한 아시안컵에는 뽑지 않겠다.”고 했다. 대회 이후 ‘자원’으로도 생각한다는 뜻이었다. “결정은 경쟁을 통해서”라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카타르 도하행 비행기에 오를 대표팀 명단은 오는 24일 오전에 발표된다.
21일 제주 서귀포의 시민축구장. 한국과 일본에서 뛰는 21명 예비 태극전사들의 움직임이 더욱 후끈 달아올랐다. 손흥민은 윤빛가람(경남)과 함께 10세트에 달하는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가뿐히 소화했다. 그는 “힘드네요. 시차 적응도 안 되고….”라면서 “아직 대표팀에 합류해 훈련하고 있다는 게 실감이 나지 않아요.”라며 웃었다.
손흥민의 강점은 날카로운 움직임이다. 상대의 약한 고리에 침투하는 능력이 좋다. 조 감독이 “좋은 움직임이 습관처럼 배어 있다.”고 말한 부분이다. 이는 독일에서 많은 득점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이를 살려야 대표팀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 개인 기술은 아직 부족하다. 조 감독도 “필드 플레이에서는 아직 보완할 점이 많다.”면서도 “한국 공격수들에게 없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훈련이 끝난 뒤 손흥민은 “축구를 시작하면서 세운 최종 목표는 태극마크를 달고 뛰는 것이었다.”면서 “박지성, 박주영 등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면 영광이라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분데스리가에서 뛰고 있다는 자만심은 없을 것이다. 성실함으로 경쟁에 나서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왼쪽 미드필더와 공격수로 나서게 될 경쟁자는 김보경(21·세레소 오사카), 조영철(21·니가타), 유병수(22·인천), 지동원(19·전남) 등의 또래들. 좌·우 미드필더인 김보경, 조영철과는 충돌이 불가피하다. 김보경은 드리블과 경기 운영이, 조영철은 스피드가 발군이다. 조 감독이 “골대 앞에서 과감하게 달려 들어가는 장면, 수비의 뒤 공간 침투도 좋다.”고 칭찬, 스트라이커로도 활용하겠다는 복안을 드러내면서 K-리그 올해의 득점왕 유병수, 광저우아시안게임 동메달의 주역 지동원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내 공 놓치지 않아
독일 분데스리가 함부르크의 손흥민이 21일 처음 축구대표팀에 합류해 제주도 서귀포시민구장에서 미니게임 훈련을 소화하고 있다.
제주 연합뉴스
독일 분데스리가 함부르크의 손흥민이 21일 처음 축구대표팀에 합류해 제주도 서귀포시민구장에서 미니게임 훈련을 소화하고 있다.
제주 연합뉴스
21일 제주 서귀포의 시민축구장. 한국과 일본에서 뛰는 21명 예비 태극전사들의 움직임이 더욱 후끈 달아올랐다. 손흥민은 윤빛가람(경남)과 함께 10세트에 달하는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가뿐히 소화했다. 그는 “힘드네요. 시차 적응도 안 되고….”라면서 “아직 대표팀에 합류해 훈련하고 있다는 게 실감이 나지 않아요.”라며 웃었다.
손흥민의 강점은 날카로운 움직임이다. 상대의 약한 고리에 침투하는 능력이 좋다. 조 감독이 “좋은 움직임이 습관처럼 배어 있다.”고 말한 부분이다. 이는 독일에서 많은 득점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이를 살려야 대표팀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 개인 기술은 아직 부족하다. 조 감독도 “필드 플레이에서는 아직 보완할 점이 많다.”면서도 “한국 공격수들에게 없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훈련이 끝난 뒤 손흥민은 “축구를 시작하면서 세운 최종 목표는 태극마크를 달고 뛰는 것이었다.”면서 “박지성, 박주영 등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면 영광이라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분데스리가에서 뛰고 있다는 자만심은 없을 것이다. 성실함으로 경쟁에 나서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왼쪽 미드필더와 공격수로 나서게 될 경쟁자는 김보경(21·세레소 오사카), 조영철(21·니가타), 유병수(22·인천), 지동원(19·전남) 등의 또래들. 좌·우 미드필더인 김보경, 조영철과는 충돌이 불가피하다. 김보경은 드리블과 경기 운영이, 조영철은 스피드가 발군이다. 조 감독이 “골대 앞에서 과감하게 달려 들어가는 장면, 수비의 뒤 공간 침투도 좋다.”고 칭찬, 스트라이커로도 활용하겠다는 복안을 드러내면서 K-리그 올해의 득점왕 유병수, 광저우아시안게임 동메달의 주역 지동원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0-1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