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찰 곳 없으면 주위를 둘러봐

공 찰 곳 없으면 주위를 둘러봐

입력 2018-12-06 17:50
수정 2018-12-07 03: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강 대한민국… 체육, 일상이 되다

주 1회 이상 체육 참여율 59.2%… 정부·지자체 프로그램 활용 1인 1스포츠 즐겨라
이미지 확대
체육이 생활화된 나라는 건강합니다. 청소년도, 노인도, 여성도, 누구라도 더욱 즐거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 1회 이상 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 비율 59.2%(2017년)는 크게 높아져야 합니다. 2019년 체육을 생활로 끌어들이기 위해 “주변을 찾아보는” 일, 서울신문이 연중 함께하겠습니다.

2017년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에 따르면 ‘주 1회 이상 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의 비율은 59.2%였다. 1인 1스포츠가 일반화된 스포츠 선진국과는 상당한 차이가 난다.

수영만 예로 들어도 그 격차는 확연하다. 한국은 전체 초등학교 중 1.3%(76개)만 수영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생활체육 선진국 독일은 1961년부터 ‘황금 계획’을 실시해 놀이 및 생활체육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했다. 1975년까지 독일 전역에 걸쳐 체육관은 기존에 비해 181%, 실내 수영장은 172%, 어린이 놀이터는 190% 확충됐다. 면적으로 따지면 1억 2700만㎡가 새로 생긴 것이다.

이웃 나라 일본도 1950년대부터 생존 수영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2015년 기준으로 총 2만 601개의 초등학교 중 76.1%(1만 5686곳)에 수영장을 갖춰 놓았다.
이미지 확대
대한체육회는 체육 인프라 확보를 위해 2013년도 8개였던 ‘스포츠클럽’을 올해 76개까지 늘렸다. 초·중·고 ‘방과후 스포츠 프로그램’도 2017년 4600곳에서 2018년 5000여곳으로 확대했다. 여성을 위해서는 2년째 추진 중인 ‘美채움 프로젝트’를 통해 생애 주기별(임신기·출산기·육아기·갱년기)에 맞춰 운동 프로그램 참여 기회(9개 도시 66곳)를 제공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19년은 국민들의 본격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한 해다. 생활체육은 청소년에게 인성 교육의 효과가 있고, 청소년기 체육은 성인 및 노인 운동으로 연결되게 마련이다. 국가적으로는 의료비 절감 효과가 있다. 2016년 2월 통합체육회 출범 이후 생활체육 활성화에 주력해 온 근본적인 이유다.

손증철 대한체육회 학교생활체육 본부장은 “주변을 돌아봐 달라”고 부탁했다. “정부·지자체와 함께 인프라 확충과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에 꾸준히 힘을 쏟아 왔다. 활용할 프로그램들이 의외로 많다는 걸 국민들이 알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손 본부장은 “생활체육 선진국들처럼 평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저마다 1개씩 갖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소개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8-12-07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