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스토브리그에 계약한 선수들. 각 구단 제공
스토브리그가 폭주하고 있다.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는 17일 각각 김재환과 4년 115억원, 김현수와 4+2년 115억원에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박건우(NC 다이노스)가 6년 100억원에 계약을 맺은 것을 포함해 100억원대 계약이 3건이 나왔다. 여기에 나성범, 양현종 등 100억원대가 예상되는 계약이 또 남아 있어 더 불타오를 전망이다.
시장에 적정가는 없지만 확실히 비싼 분위기다. 프로야구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거품론’이 강하게 일며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서 구단들이 투자를 아꼈다. 하필 그 시기에 시장에 나왔던 선수들은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나오는 금액의 반도 못 받았지만 그마저도 ‘거품’이라며 팬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아야 했다.
이번 스토브리그에서는 SSG 랜더스가 박종훈과 5년 총액 65억원, 문승원과 5년 총액 55억원의 비FA 장기계약을 맺으면서 기존보다 시장이 커졌다. 두 선수뿐만 아니라 구단 전력을 확실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선수들이 쏟아지다 보니 시장이 과열 양상이 됐다.
그러나 시장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 더 문제다. 나성범과 양현종을 빼고도 손아섭, 강민호, 황재균 등 대어들이 남아 있다. 박병호와 정훈도 적지 않은 금액이 예상되는 알짜배기 선수다.
역대 스토브리그에서 최다 금액은 2016년의 766억 2000만원이다. 그러나 올해는 비FA를 빼더라도 482억원이라 766억원은 가뿐하게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야구는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며 지난해 32만 8317명, 올해 122만 8152명의 관중이 찾았다. 내년이라고 상황이 나아지리란 법은 없다. 여기에 도쿄올림픽에서 노메달에 그쳐 야구 인기도 식은 상황이라 정상화가 되더라도 팬들이 얼마나 경기장을 찾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이 모든 씀씀이의 목표는 결국 우승이다. 그러나 우승을 하는 팀은 딱 1개 팀으로 나머지 9개 팀이 투자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구단들의 투자가 산업을 무너뜨리는 위험한 투자가 될지, 팬들을 불러 모으고 우승의 결실을 고루 맛보는 알찬 투자가 될지 이목이 쏠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