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현 던지고, 정후 때리고… 내야수 ‘빅리거 철벽’ 친다

광현 던지고, 정후 때리고… 내야수 ‘빅리거 철벽’ 친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3-01-04 20:22
업데이트 2023-01-0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BC 출전 30인 명단 발표

김하성·최지만·에드먼 수비 편성
양의지·이지영 ‘안방마님’ 낙점
김광현 투수 앞장… 안우진 낙마
3월 日 도쿄돔서 호주와 첫 대결
이미지 확대
김광현. 연합뉴스
김광현.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이정후. 연합뉴스
이정후.
연합뉴스
한국 야구 대표팀이 6년 만에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바람의 손자’를 공격 선봉에 내세우고, 빅리그 최정상급 ‘키스톤 콤비’를 꾸려 역대 최고 성적인 우승에 도전한다.

이강철 감독과 조범현 기술위원장은 4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주전 2루수인 한국계 선수 토미 현수 에드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유격수 김하성 등이 포함된 WBC 대표팀 30인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이강철 한국 야구 대표팀 감독이 4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출전하는 대표팀 명단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강철 한국 야구 대표팀 감독이 4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출전하는 대표팀 명단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종 명단 제출 마감일인 다음달 8일까지 부상 등 변수 발생 시 선수 교체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 감독과 조 위원장은 이날 발표한 명단이 사실상 최종 명단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명단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빅리거로 구성된 내야 라인이다. 2022시즌 골드글러브 내셔널리그(NL) 유격수 최종 후보에 오를 만큼 수비력을 인정받은 김하성과 2021시즌 골드글러브 NL 2루수 수상자 에드먼 그리고 1루수 최지만(피츠버그 파이리츠)이 내야 수비를 책임진다. 다만 최근 팀을 옮긴 최지만은 피츠버그 구단과 상의한 뒤 WBC 출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WBC 참가 선수는 부모 혹은 조부모 혈통에 따라 출전국을 결정할 수 있는데, 에드먼은 최근 한국야구위원회(KBO)에 한국 대표팀 일원으로 WBC에 참가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내야수에는 에드먼, 김하성, 최지만과 함께 최정(SSG 랜더스), 김혜성(키움 히어로즈), 오지환(LG 트윈스), 박병호, 강백호(이상 kt wiz)가 승선했다.

마운드에선 국제대회 경험이 풍부한 두 좌완 김광현(SSG), 양현종(KIA 타이거즈)이 앞장선다. 구창모, 이용찬(이상 NC 다이노스), 이의리(KIA), 김윤식, 정우영, 고우석(이상 LG), 소형준, 고영표(이상 kt), 원태인(삼성 라이온즈), 김원중, 박세웅(이상 롯데 자이언츠), 곽빈, 정철원(이상 두산 베어스) 등이 함께 뽑혔다. 여전히 학교폭력 전력에 대한 논란이 있는 키움의 안우진은 예비명단에서 빠졌다.

포수로는 양의지(두산)와 이지영(키움)이 나선다. 외야수는 KBO 리그 2022시즌 타격 5관왕 이정후(키움)를 비롯해 김현수, 박해민(이상 LG), 나성범(KIA), 박건우(NC)로 구성됐다.

대표팀은 다음달 미국 애리조나주 투손 키노 스포츠콤플렉스에서 WBC 대비 훈련을 한 뒤 본선 1라운드가 열리는 일본 도쿄로 이동한다. 한국은 오는 3월 9일 도쿄돔에서 호주와 1라운드 첫 대결을 펼친다.

한국은 일본, 호주, 중국, 체코와 본선 1라운드를 치른다. 5개국 가운데 조 2위 안에 진입하면 A조 상위 2개 팀과 일본 도쿄돔에서 8강전을 한다. 4강전과 결승전은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론디포 파크에서 열린다.

한국은 2006년 WBC에서 4강, 2009년 준우승의 성적을 냈으나 2013년과 2017년 대회에서는 예선 탈락했다. 이번 대회는 당초 2021년 개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2년 연기돼 올해 열린다.
장형우 기자
2023-01-05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