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슬라프 헤라스케비치.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 연맹 페이스북 캡처
AP통신은 28일(한국시간) “헤라스케비치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2시간 정도 떨어진 지토마이어에서 키예프를 지킬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헤라스케비치는 AP통신과 전화 인터뷰를 통해 “나는 학생이다. 이런 종류의 일을 경험하지 못했다”면서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스켈레톤 선수인 헤라스케비치는 지난 11일 베이징 옌칭 슬라이딩센터에서 경기를 마친 후 ‘NO WAR IN UKRAINE’(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일어나선 안 된다)가 적힌 문구를 들었다. 최근에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나는 고향의 거리에서 웃음과 행복을 보기 원하고, 고국의 발전과 번영을 보기 원하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로 우크라이나를 영광스럽게 하고, 집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편안하기를 원하는 평범한 우크라이나 사람”이라며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반전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올림픽에서 반전의 메시지를 든 헤라스케비치. 헤라스케비치 인스타그램 캡처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들까지 나라를 지키기 위해 기꺼이 우크라이나에 남아 항전을 이어가고 있다. 헤라스케비치처럼 스포츠 선수들도 적극적이다. 스페인 2부 리그 스포르팅 히혼에서 뛰는 축구선수 바실 크라베츠(24)도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참전 의사를 밝혔다. 2008·2012 올림픽 복싱 2연패를 달성한 바실 로마첸코(34)도 기꺼이 총을 들었다.
이와 함께 스포츠계에서는 러시아 보이콧 움직임이 거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전쟁 발발 직후 러시아에 강력한 항의의 뜻을 전했고, 국제축구연맹(FIFA) 역시 28일 “러시아에서 국제 축구 경기를 개최할 수 없고, 러시아 선수들은 나라명 대신 러시아축구협회 소속으로 뛰어야 한다”고 통보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