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당한 실수로 무너진 크라머
제아무리 빼어난 선수도 긴 경기에선 때때로 어이없이 착각해 일을 그르치기도 한다. 25m 레인을 60차례 도는 수영 1500m와 2분씩 15라운드를 벌이는 복싱에서 싸움을 끝냈는데도 쉼 없이 뛰는 경우를 보며 혀를 끌끌 차게 된다.네덜란드 스벤 크라머(왼쪽)가 실격 당한 뒤 코칭스태프의 위로를 받고 있다.
밴쿠버 AP특약
밴쿠버 AP특약
크라머의 실수로 25바퀴 가운데 18바퀴째부터는 이반 스코브레프(러시아)와 같은 코스를 달리는 장면이 연출됐다. 마지막 8조에서 뛴 크라머는 이승훈보다 4.05초 앞선 12분54초50에 결승선을 끊으며 우승을 확신했지만 허사였다. 게라드 켐케스 코치는 인코스를 가리키는 왼손 검지(아웃코스는 검지와 중지)를 들었고, 착오라는 사실을 새까맣게 모른 크라머는 상대방 위치도 잊은 채 숨가쁘게 내달렸다. 크라머는 “너무 화난다. 집중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얼음 위에 있었던 선수는 나였다. 내가 아주 짧은 순간에 잘 결정해야 했다.”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그가 고글을 집어던지고 고깔 모양으로 된 레인 마크를 걷어차는 모습은 외신을 통해 지구촌에 그대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김용수 대표팀 코치는 “인코스를 두 번 돌면 3초 정도 기록이 단축될 수 있다. 거리로는 30~40m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크라머는 실격당하지 않았으면 이승훈을 1초가량 앞지르고 금메달을 딸 수 있었던 셈이다. 대한빙상경기연맹 정기훈 심판이사는 “체력 소모가 심한 후반에 실수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나치게 몰입해도 ‘문제’라는 점을 일러주는 대목이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밴쿠버 동계올림픽 사진 보러가기
2010-02-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