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함에 따라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현재 절대 금리 수준이 낮기 때문에 당장은 가계나 기업이 받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금리 인상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 영세가계나 중소기업,자본대비 부채 비중이 높은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영향권에 들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 0.25%포인트↑,이자부담 2조4천억원↑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의 6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417조8천667억원이다.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90%인 점을 고려하면 금리가 0.25% 오를때 연간 약 9천402억원의 이자 부담이 추가로 생기는 것으로 추산됐다.
기업대출 잔액은 517조9천916억원으로 변동금리 대출 비중 70%를 반영하면 금리 0.25%포인트 인상 때 연간 9천64억원의 추가 이자가 발생한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합하면 이자비용은 연간 총 1조8천466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제2금융권의 가계 및 산업대출 잔액(약 310조원)의 추가 이자 부담 6천166억원까지 포함하면 이번 금리 인상으로 더해지는 이자비용은 총 2조4천억원대로 불어난다.
문제는 금리 인상이 이번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삼성증권 최석원 채권분석파트장은 “금리 정상화가 시작되면 내년 1분기까지 1%포인트 정도 올려놓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계나 기업이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 연체율이 늘어나는 등 대출 부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이는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직결된다.
지난 5월 말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월보다 0.10% 상승한 1.20%를 기록해 작년 8월 말(1.37%)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6월 말 기준 연체율도 기업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전달보다 더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영세·한계기업 직격탄
정부와 한은은 이번 금리인상으로 당장 가계부채 등에서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이날 배포한 참고자료를 통해 가계부채의 70.6%를 소득 상위계층인 4~5분위가 보유하고 있으며,1분위 가구에서 부채를 보유한 비중은 전체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즉 저소득층 가구는 20%만 빚을 지고 있으며 나머지 80%는 빚이 없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타격이 없다는 것이다.
기업에 대해서도 “경기 상승으로 앞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며 전체 기업의 30% 정도인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금리인상으로 촉진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한 조찬 강연회에서 “가계부채가 현재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가계부채 수준은 높으나 연체율 등 다른 지표나 가계의 금리 부담으로 봐선 위험한 단계는 아니라고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금리를 점진적으로 소폭 올릴 것으로 보여 가계나 기업에 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하지만,하반기에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현실화하면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 및 금리 인상과 맞물려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이 약화하고 대출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미국,중국의 경기가 둔화하면 한국의 수출도 영향을 받게 되며 기업들은 수출둔화에 따른 타격과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최근에 세계 경제 더블딥(이중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만약 세계 경제 불안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우리나라 수출 증가세가 많이 꺾인다면 금리 인상과 맞물려 한계기업 등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현재 절대 금리 수준이 낮기 때문에 당장은 가계나 기업이 받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금리 인상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 영세가계나 중소기업,자본대비 부채 비중이 높은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영향권에 들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 0.25%포인트↑,이자부담 2조4천억원↑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의 6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417조8천667억원이다.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90%인 점을 고려하면 금리가 0.25% 오를때 연간 약 9천402억원의 이자 부담이 추가로 생기는 것으로 추산됐다.
기업대출 잔액은 517조9천916억원으로 변동금리 대출 비중 70%를 반영하면 금리 0.25%포인트 인상 때 연간 9천64억원의 추가 이자가 발생한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합하면 이자비용은 연간 총 1조8천466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제2금융권의 가계 및 산업대출 잔액(약 310조원)의 추가 이자 부담 6천166억원까지 포함하면 이번 금리 인상으로 더해지는 이자비용은 총 2조4천억원대로 불어난다.
문제는 금리 인상이 이번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삼성증권 최석원 채권분석파트장은 “금리 정상화가 시작되면 내년 1분기까지 1%포인트 정도 올려놓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계나 기업이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 연체율이 늘어나는 등 대출 부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이는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직결된다.
지난 5월 말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월보다 0.10% 상승한 1.20%를 기록해 작년 8월 말(1.37%)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6월 말 기준 연체율도 기업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전달보다 더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영세·한계기업 직격탄
정부와 한은은 이번 금리인상으로 당장 가계부채 등에서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이날 배포한 참고자료를 통해 가계부채의 70.6%를 소득 상위계층인 4~5분위가 보유하고 있으며,1분위 가구에서 부채를 보유한 비중은 전체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즉 저소득층 가구는 20%만 빚을 지고 있으며 나머지 80%는 빚이 없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타격이 없다는 것이다.
기업에 대해서도 “경기 상승으로 앞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며 전체 기업의 30% 정도인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금리인상으로 촉진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한 조찬 강연회에서 “가계부채가 현재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가계부채 수준은 높으나 연체율 등 다른 지표나 가계의 금리 부담으로 봐선 위험한 단계는 아니라고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장민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금리를 점진적으로 소폭 올릴 것으로 보여 가계나 기업에 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하지만,하반기에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현실화하면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 및 금리 인상과 맞물려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이 약화하고 대출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미국,중국의 경기가 둔화하면 한국의 수출도 영향을 받게 되며 기업들은 수출둔화에 따른 타격과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최근에 세계 경제 더블딥(이중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만약 세계 경제 불안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우리나라 수출 증가세가 많이 꺾인다면 금리 인상과 맞물려 한계기업 등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