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중금속의 일종인 무기비소의 쌀 내 함량을 정한 것과 관련해 국민 식생활을 고려하지 않은 위험한 기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윤인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1일 식약처가 수입 및 국내 유통 쌀에 무기비소 기준을 0.2㎎/㎏ 이하로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한 것은 우리나라 국민의 쌀 섭취량 등을 고려할 때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7일 비판했다.
무기비소는 인체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고혈압, 당뇨, 기형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기비소가 체내에 들어오면 축적돼 30∼40년 동안 배출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남윤 의원이 식약처 국정감사 질의를 통해 공개한 ‘쌀 무기비소 0.2㎎/㎏ 기준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의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은 미국인보다 7배 이상 많은 쌀을 섭취하기 때문에 쌀에 대한 무기비소의 기준을 국제적인 기준과 똑같이 적용하면 우리 국민의 비소 노출 위해도는 미국인의 7배가량 된다.
검토 의견을 작성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는 “쌀에 무기비소가 함량 기준이 0.2㎎/㎏가 됐다고 가정하면 쌀 섭취를 통한 위해지수는 1.95로 환경보건법의 허용가능 위해 수준을 2배 가량 초과하며 초과발암위해도도 0.0009로 환경보건법에서 정한 기준을 9배 가량 초과한다”고 설명했다.
또 최 교수는 검토 의견서에서 “같은 중금속인 카드뮴의 쌀 내 최대 허용 기준도 0.2㎎/㎏지만 카드뮴과 달리 강한 발암성을 가진 무기비소 기준을 카드뮴과 동일한 수준으로 적용하는 것은 위해도 측면에서도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남윤 의원은 “이번에 채택된 기준은 지난 7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제37차 총회에서 정한 쌀의 무기비소 기준안을 그대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 농민단체 등은 무기비소 함량이 최고 0.16㎎/㎏에 달하는 미국 쌀을 차질 없이 판매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윤 의원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국내 유통 중인 국산 쌀 뿐만 아니라 앞으로 수입될 수 있는 미국 현지의 쌀에 대한 비소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각계 전문가 의견을 청취해 쌀의 무기비소 기준 설정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윤인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1일 식약처가 수입 및 국내 유통 쌀에 무기비소 기준을 0.2㎎/㎏ 이하로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한 것은 우리나라 국민의 쌀 섭취량 등을 고려할 때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7일 비판했다.
무기비소는 인체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고혈압, 당뇨, 기형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기비소가 체내에 들어오면 축적돼 30∼40년 동안 배출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남윤 의원이 식약처 국정감사 질의를 통해 공개한 ‘쌀 무기비소 0.2㎎/㎏ 기준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의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은 미국인보다 7배 이상 많은 쌀을 섭취하기 때문에 쌀에 대한 무기비소의 기준을 국제적인 기준과 똑같이 적용하면 우리 국민의 비소 노출 위해도는 미국인의 7배가량 된다.
검토 의견을 작성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는 “쌀에 무기비소가 함량 기준이 0.2㎎/㎏가 됐다고 가정하면 쌀 섭취를 통한 위해지수는 1.95로 환경보건법의 허용가능 위해 수준을 2배 가량 초과하며 초과발암위해도도 0.0009로 환경보건법에서 정한 기준을 9배 가량 초과한다”고 설명했다.
또 최 교수는 검토 의견서에서 “같은 중금속인 카드뮴의 쌀 내 최대 허용 기준도 0.2㎎/㎏지만 카드뮴과 달리 강한 발암성을 가진 무기비소 기준을 카드뮴과 동일한 수준으로 적용하는 것은 위해도 측면에서도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남윤 의원은 “이번에 채택된 기준은 지난 7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제37차 총회에서 정한 쌀의 무기비소 기준안을 그대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 농민단체 등은 무기비소 함량이 최고 0.16㎎/㎏에 달하는 미국 쌀을 차질 없이 판매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윤 의원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국내 유통 중인 국산 쌀 뿐만 아니라 앞으로 수입될 수 있는 미국 현지의 쌀에 대한 비소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각계 전문가 의견을 청취해 쌀의 무기비소 기준 설정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