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금값’ 배추·무 이젠 가격 떨어져 걱정…산지폐기 추진

‘한때 금값’ 배추·무 이젠 가격 떨어져 걱정…산지폐기 추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2-27 11:16
수정 2018-12-27 12: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식품부, 수급 안정대책 발표…공급량 조절해 가격 안정

올여름 폭염에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물가 당국의 골치를 썩였던 배추와 무가 겨울을 맞아 이번엔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비상이 걸렸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무와 배추 등 채소 코너를 바라보는 고객.뉴스1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무와 배추 등 채소 코너를 바라보는 고객.뉴스1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무 가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겨울철 수급 불안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고자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해 선제적으로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최근 월동 배추·무 생산량 증가로 공급량이 많아 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배추는 가을배추 남은 물량이 8만1천t에 달해 평년 6만3천t보다 1만8천t이나 많고, 지난달부터는 날씨가 좋아 월동배추 생산량도 평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배추 도매가격은 포기당(상품 기준) 지난달 하순 1천598원에서 이달 상순 1천438원, 이달 중순 1천184원, 이달 하순 1천27원까지 떨어졌다.

농식품부는 “가을배추는 보통 12월 말까지 출하가 마무리돼야 하지만, 최근 가격 약세로 1월까지 출하가 밀릴 가능성이 크다”며 “와중에 월동배추와 출하가 겹치면 가격이 더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무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가을무는 이달 말까지 출하되지만, 내년 5월 하순까지 나오는 월동무 재배 면적이 평년보다 13.3%나 크게 늘어나 생산량이 6.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무 가격은 지난달 하순 개당(상품 기준) 572원에서 이달 중순 781원까지 올랐지만, 이달 하순 들어서 752원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농식품부는 이에 배추·무 산지·시장 상황과 수급 여건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할 방침이다.

배추는 채소 가격 안정제를 통해 8천t을 출하 정지하고, 전남 해남에서 9천t을 자체 산지 폐기한다. 산지 유통인이 2천t을 자율적으로 감축하는 방안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배추 1만9천t을 시장에서 격리한다는 계획이다.

무는 다음 달 초과 공급 예상량 9천t을 대상으로 제주도가 7천t을 자율 감축하고, 2천t은 수출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과잉물량을 시장에서 격리하고,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해 출하처와 출하 시기를 탄력적으로 분산해 단기간에 가격이 급등락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