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비대면 플랫폼 선점에 사활
스타트업 등 제휴 원스톱 서비스
물류비 정산·외국환 등 통합 제공
일각선 “미래 먹거리로는 미지수”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서비스형 뱅킹은 기본적으로 카드업계의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와 유사하게 스타트업 등 비금융권과 손을 잡고 금융상품을 개발 및 제공하는 사업이다.
은행의 금융상품을 제휴사의 브랜드로 만들어 제휴 채널을 통해 판매한다는 점에서 기존 사업 제휴와는 다르다. 예컨대 서비스형 뱅킹이 상용화하면 배달앱에서 클릭 한 번으로 현금 송금·결제가 이뤄지거나 부동산 중개앱에서 대출 연계까지 진행되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비금융 기업은 각종 인허가 등 규제 산업인 기존 금융업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은행은 내부 인터페이스 및 자원을 공급함으로써 손쉽게 수수료 등 수익을 낼 수 있고, 추가 비용 없이 다양한 계층의 고객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평소에 이용하는 특정 회사의 앱 안에서 은행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시중은행 중에선 신한은행이 한발 앞섰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9월 전사적자원관리(ERP) 사업자인 더존비즈온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같은 해 11월 100% 비대면 기업통장 ‘더존x신한 쏠비즈 기업통장’을 내놨다. 기업의 ERP 서비스에 계좌조회, 이체,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은행 서비스를 연동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은행도 지난해 10월 풀필먼트(물류 전문업체가 판매자 대신 주문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고 포장한 뒤 배송까지 마치는 방식) 서비스 업체 두손컴퍼니와 MOU를 맺었다. 중소기업에 해외 수출 과정에서의 물류비 정산, 외국환 서비스 등을 통합 제공할 계획이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지난해 9월 발표한 ‘최근 은행 산업 동향 및 은행 사업다각화 전략 방향’ 보고서에서 “서비스형 뱅킹은 향후 은행업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며 “기술에 강점을 가진 전통 은행에 새로운 발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한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PLCC도 고객 관심을 환기하는 기능이 클 뿐 전체 카드사 수익에서 유의미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특정 업체 이용 고객에게 일부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겠지만, 고객마다 수요가 다른데 은행의 미래 먹거리로 부상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2022-01-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