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이 에볼라에 감염된 간호사의 개를 안락사시킨 것에 보듯 에볼라 전파에 있어 사람과 사람 간의 감염보다 박쥐나 다른 포유동물을 통한 전염이 더욱 위험하다고 스위스 일간 20미닛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면역학자인 베다 스태들러 박사는 “인간은 에볼라 바이러스 입장에서 보면 좋은 숙주가 아니다”면서 “병원균으로서는 애완 동물같은 포유류가 훨씬 더 머물기에 낫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런 사실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이미 설치류, 박쥐, 영양, 돼지, 개, 침팬지, 고릴라, 원숭이 등에서도 발견됐다는 전 세계의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미국의 한 조사팀은 심지어 조류들도 에볼라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이 신문은 말했다.
스태들러 박사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동물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지만 충분히 익힌 고기를 먹는 것만으로는 전염되기 어렵다”면서 “그러나 사냥할 때 동물의 내장을 적출한다면 이미 바이러스가 모든 내장 점막에 퍼져있는 상태여서 쉽게 전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감염된 개가 주인의 얼굴을 혀로 핥는 것도 위험하고, 하수구를 통해 처리된 에볼라 바이러스가 퇴적물에 쌓여있다가 쥐를 통해 다시 전파될 수도 있다.
연합뉴스
면역학자인 베다 스태들러 박사는 “인간은 에볼라 바이러스 입장에서 보면 좋은 숙주가 아니다”면서 “병원균으로서는 애완 동물같은 포유류가 훨씬 더 머물기에 낫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런 사실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이미 설치류, 박쥐, 영양, 돼지, 개, 침팬지, 고릴라, 원숭이 등에서도 발견됐다는 전 세계의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미국의 한 조사팀은 심지어 조류들도 에볼라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이 신문은 말했다.
스태들러 박사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동물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지만 충분히 익힌 고기를 먹는 것만으로는 전염되기 어렵다”면서 “그러나 사냥할 때 동물의 내장을 적출한다면 이미 바이러스가 모든 내장 점막에 퍼져있는 상태여서 쉽게 전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감염된 개가 주인의 얼굴을 혀로 핥는 것도 위험하고, 하수구를 통해 처리된 에볼라 바이러스가 퇴적물에 쌓여있다가 쥐를 통해 다시 전파될 수도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