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부장관과 동아태 차관보-NSC 부보좌관과 아태담당 선임보좌관 관심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8일(현지시간) 치러진 대선에서 승리해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트럼프 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주도할 인물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한반도 정책을 포함한 미 정부의 외교·안보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안보팀은 크게 국무·국방장관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3대 축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다가 미 국무부의 부장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북정책 특별대표, 북한 인권특사,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 아태담당 선임보좌관 등이 실무 책임자로서 주요 정책을 만들고 조율한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미국 측 6자회담 수석 대표도 겸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새 인물들이 이들 직책을 채우게 된다.
이들 요직에는 캠프 안팎에서 활약한 인사들이 포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무장관 후보에는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미국대사, 밥 코커(테네시) 상원 외교위원장, 리처드 하스 미국외교협회장 등이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국방장관에는 마이클 플린 전 국가정보국(DIA) 국장이 유력한 가운데 제프 세션스(앨라배마) 상원의원도 후보군에 포함돼 있다.
플린 전 국장의 경우 미 정보당국이 대선 후보에게 하는 ‘안보 브리핑’에까지 배석할 정도로 트럼프 당선인의 신뢰가 두터워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발탁될 가능성도 있다.
행정부 직책 가운데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한 인권특사는 미 상원의 인준절차가 필요한 정무직이 아니어서 통상적으로 정권이 바뀌어도 교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제 막 임명된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경우 그대로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또 대니얼 러셀이 맡고 있는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자리의 경우 업무의 연속성을 위해 보통 새 정부 출범 후 6개월 정도 후 교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세션스 의원과 함께 트럼프캠프의 외교·안보 3인방으로 불린 외교참모 왈리드 파레스 미국 BAU 국제대학 부총장, 국방참모 제프리 B. 고든도 중책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파레스는 외교 문외한인 트럼프에게 대외 정책의 기본방향을 조언하고 백지상태나 다름없는 외교공약을 밑그림부터 그려나가고 있는 인물로 알려졌다.
트럼프캠프 외교안보팀에서 활약한 카터 페이지 글로벌에너지캐피털 창립자, 벤 카슨 참모 출신의 조지 파파도폴로스 허드슨연구소 에너지안보 분석가 등의 역할도 주목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