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안대전] 북러관계 훈풍 속, 다시 주목해야 할 이름 ‘라선 특별시’

[외안대전] 북러관계 훈풍 속, 다시 주목해야 할 이름 ‘라선 특별시’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4-02-24 09:00
수정 2024-02-24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얽히고 설켜 있는 외교안보 현안 뒤에 숨어 있는 맥락을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외안대전’(외교안보 대신 전해드립니다)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국익과 세계관이 맞부딪치는 총성 없는 전쟁 속에서 국방·외교·통일 정책이 가야 할 길을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얽히고 설켜 있는 외교안보 현안 뒤에 숨어 있는 맥락을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외안대전’(외교안보 대신 전해드립니다)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국익과 세계관이 맞부딪치는 총성 없는 전쟁 속에서 국방·외교·통일 정책이 가야 할 길을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협력 수준을 나날이 높이는 가운데 두만강을 잇는 다리 건설을 재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양쪽을 잇는 통로는 현재 두만강철교밖에 없기 때문에 도로 교량을 완공하면 상호교류 수준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맞닿아있는 육상 국경선은 두만강 하류 16㎞인데, 러시아는 연해주 하산이고 북한은 라선특별시입니다. 라선특별시는 향후 북러교역의 핵심 역할은 물론 중국 동북3성까지 포괄하는 핵심 교통물류 허브로서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곳이기도 합니다.

많은 이들이 러시아와 접한 북한 지역을 ‘나진’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정확한 이름은 ‘나선’입니다. 그것도 그냥 도시가 아니라 무려 특별시입니다. 이름만 들으면 서울특별시를 떠올리기 쉽지만 북한에선 평양은 ‘직할시’로 나선은 ‘특별시’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거기다 나선에 있는 항구는 과거 지명을 그대로 딴 ‘나진항’이라 더 착각하기 쉽습니다.

북한은 김정은 국방위원장 시절 나선을 경제특구로 지정되는 등 나선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발간하는 무역 관련 선전잡지 ‘대외무역’이 지난해 5월 실은 글을 읽어보면 나선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잡지는 나선을 “동북아시아 육상·해양 교통의 요충지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유럽, 북미를 연결하는 중간지점”이라며 “황금 삼각지대”(골든 트라이앵글)라면서 “정부는 나선 경제무역지대를 국제적 지역으로 발전시켜 동북아시아 및 그 밖의 세계 각국과 경제협력 및 교류를 확대·강화해 나가겠다는 확고한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나선이 갖는 중요성을 이해하려면 일단 동북아시아 지도를 유심히 살펴봐야 합니다. 북한 북동쪽 끝 모서리에 위치한 나선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세 나라가 만나는 꼭지점입니다. 북중러 경제협력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게다가 나선에 있는 나진항은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부동항입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2015년에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나진항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헤이룽장성과 지린성의 잠재 물동량 가운데 절반 이상을 나진항이 흡수하게 됩니다. 또 나진항을 통해 북미 서해안으로 연결될 경우 중국 다롄항을 경유하는 것보다 2600㎞나 단축할 수 있습니다.

나선이 갖는 잠재력을 처음 주목한 건 일본이었습니다. 조선총독부는 1939년 6월 나진부와 경흥군 웅기읍을 함경북도에서 독립시켜 총독부 직속 독립 행정기관인 나진청(羅津廳)으로 만드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분단과 냉전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탈냉전과 함께 유엔개발계획(UNDP)이 두만강유역개발계획 수립을 결정하는 등 두만강 하구 개발계획에 나서자 북한 역시 1991년 12월 나진·선봉에 ‘자유경제무역지대’를 설립하며 호응했습니다. 1993년에는 나진과 선봉을 합쳐서 나진선봉시로 개칭했고 경제무역특구도 지정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나선이 갖는 잠재력의 최대 원천인 동시에 경쟁자이기도 합니다. 중국은 예전부터 나선을 거치지 않고 두만강을 통해 직접 동해로 나가는 방안을 검토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만강은 폭이 좁고 수심이 얕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습니다. 러시아 역시 블라디보스토크와 포시에트가 있지만 완전한 부동항이 아니고 기반시설과 자연환경 등에서 약점이 분명합니다. 러시아로서도 나선을 물류허브로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중국과 러시아 모두 나선이라는 존재가 꼭 필요합니다.
이미지 확대
라선특별시. 구글맵 캡처
라선특별시. 구글맵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